한일 '강제노동 반영' 구체조율…오늘 도쿄서 협의(종합)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6-23 16:26:15
  • -
  • +
  • 인쇄
최종문 교섭대표 방일…양·다자 차원 막판 조율 본격화
△ 지난 9일 서울 종로구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최종문 유네스코 협력대표(오른쪽)가 일제 강점기 조선인 강제노동 시설이 포함된 일본 근대산업시설의 세계유산 등재 추진을 놓고 신미 준(新美潤) 외무성 국제문화교류심의관 겸 스포츠담당대사와 한일 2차 양자 협의에 앞서 악수를 하고 있다.

한일 '강제노동 반영' 구체조율…오늘 도쿄서 협의(종합)

최종문 교섭대표 방일…양·다자 차원 막판 조율 본격화



(서울=연합뉴스) 이귀원 김효정 기자 = 일본 근대산업시설의 세계유산 등재 과정에서 조선인 강제노동을 반영할 방안에 대해 한일 양국이 막판 조율 단계에 돌입했다.

노광일 외교부 대변인은 23일 정례브리핑에서 "최종문 교섭대표가 금일 일본을 방문해 일본측 교섭 대표와 만날 예정"이라고 밝혔다.

최 대표는 이날 오후 신미 준(新美潤) 일본 외무성 국제문화교류심의관 겸 스포츠담당대사와 만나 조선인 강제 노동을 반영하기 위한 세부적 추진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번 협의는 한일 수석대표 간 3차 협의로, 지난 21일 도쿄에서 열린 한일 외교장관 회담의 후속 논의다.

회담을 통해 윤병세 외교부 장관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일본 외무상은 조선인 강제노동 사실을 반영하기 위한 추진 방안에 대해 사실상 큰 틀에서 합의했다.

이를 바탕으로 양국은 조선인 강제 노동 사실을 어떻게 표현하고 어떤 절차로 반영해 나갈 것인지를 구체적으로 조율하는 작업을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한일 양국 사이에서뿐만 아니라 세계유산위원회 측과도 이에 대한 기술적 협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런 점에서 23일 협의 결과 양국이 합의안을 도출해 공개하기는 쉽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많다.

정부 관계자는 "한일 양자간 조율된 의견을 바탕으로 다자 차원에서 어떻게 표현하고 반영시킬 것인지에 대해서도 협의가 이어질 것"이라고 전했다.

세계유산위원회에서의 일본 산업시설 등재 논의(7월 3∼4일)가 열흘 남짓 남아 양국은 조율 작업에 속도를 내야 하는 상황이다.

이를 위해 양국은 사실상 위원회 전까지 수시 협의 체제를 가동하는 것으로 보인다.

노광일 대변인은 "앞으로도 세부사항 협의를 위해 면담, 이메일, 전화통화 등을 통해 수시로 비공개 접촉을 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강제노동의 역사적 사실을 어떤 문안으로 표현할지에 대해서도 양국 간 최종적인 조율이 진행될 것으로 관측된다.

강제노동과 관련해 어떤 내용을 명시할 것인지는 그간 우리 측 요구의 핵심적 부분을 차지했으며, 이에 대해서도 양측은 큰 틀에서 공감을 이룬 것으로 알려졌다

일본이 등재를 신청한 '메이지(明治) 산업혁명 유산' 23곳 가운데 하시마(端島) 탄광 등 7곳에서 과거 약 5만8천명의 조선인이 강제 노역을 했다.

정부는 그동안 '기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강제 노동이라는 인권 측면도 함께 판단해야 한다'는 논리로 세계유산위원국들을 설득해 왔다.

이런 점에 비춰 볼 때 정부는 조선인들의 노동이 본인의 의사에 반(反)해 강제적으로 이뤄졌다는 성격을 명시할 것을 일본 측에 요구했을 것으로 보인다.

명시 수단과 관련해서는 표지판 설치나 방문자를 위한 자료 제작, 지방자치단체 홈페이지 등에 기재하는 방법 등이 일본 언론에서 거론되고 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