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동네 '문학 권력' 좌담, 비판적 평론가 참석할까
참석자 확대·공개토론 요구 잇따라
(서울=연합뉴스) 한혜원 기자 = 한국 '문학권력'의 한 축으로 지목된 문학동네가 이들을 비판해온 평론가 5명과 문학동네 편집위원 일부가 참여하는 좌담을 제안한 가운데 실제 좌담회가 어떤 형태로 열릴지, 그리고 제안을 받은 5명이 모두 참석할지 주목된다.
김명인 문학평론가는 26일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문학동네에서 다음 달 13∼21일 중에 좌담하자는 제의를 어제(25일) 받았다"며 "충분히 일방적인 제안이라서 당황스럽지만 원칙적으로 대화는 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좌담에 참석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학동네 편집위원들은 전날 발표문에서 "사회관계망서비스(SNS)와 언론을 통해 문학동네가 경청해야 할 말씀을 들려주신 권성우, 김명인, 오길영, 이명원, 조영일 평론가가 좌담의 장에 참석할 것을 청한다"며 "문학동네 편집위원 일부가 좌담에 참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들은 좌담에서 소위 '문학권력'에 실체가 있는지, 있다면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으며 또 어떻게 개선되어야 할 것인지 등 사안에 대해서 구체적인 근거를 가지고 논의하자고 제안했다.
문학동네가 거론한 평론가 5명은 발표가 있기 직전에야 연락을 받았다.
문학동네 편집위원들은 문자 메시지와 전화로 평론가들과 접촉 중이며 이 가운데 참석 의사를 명확히 한 사람은 김명인 평론가 정도다. 권성우와 오길영 평론가는 국외에 있어 이메일로 접촉 중이다.
사실상 참석 의사가 제대로 통보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개적인 초청장부터 꺼내 든 셈이다. 이 때문에 참석자가 몇 명이 될지 미지수다.
차미령 문학동네 주간은 "지난 1주일간 문학동네에 비판을 제시한 분 모두와 대화하기에는 한계가 있고, '문학 권력'에 대해 입장을 지속적으로 보여왔던 분들을 위주로 초청자를 정했다"며 "균형을 맞추고자 문학동네 편집위원 몇 명이 참여할지는 초청 평론가의 참석 의사에 따라 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문학동네가 계획하는 좌담은 공개된 자리가 아니라 지상(紙上) 좌담이다. 우선 다음달 중·하순에 비공개로 이야기를 나누고 그 내용을 8∼9월에 나오는 계간 '문학동네' 가을호에 발표한다는 계획이다.
이 때문에 "소위 '문학 권력'의 문제점 중 하나가 그 '폐쇄성'에 있다는 지적을 받아들인 것"이라는 발표문 표현과 달리 문학동네가 아직 폐쇄성을 완전히 놓지 못한 게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차 주간은 "신경숙 표절 논란이 불거지고 매우 많은 이야기가 이뤄진 것 같지만 들여다보면 유사한 이야기가 반복되기도 했다"며 "조금 더 자세하고 엄밀하게, 진지하게 문학계 문제를 논의하려면 시간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그는 "공개 토론회보다는 지상 좌담이 더 많은 얘기를 밀착해서 구체적으로 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한다."며 "계간지 가을호가 나올 때까지 시간이 걸리겠지만, 녹취록이나 전문 공개 등으로 공공성을 확보하려고 한다"고 설명했다.
문학동네는 좌담에서 제기되는 지적을 어떻게 출판사·문예지 운영에 반영할지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 '문학 권력' 논란과 별개로 출판·평론 시스템에 어떤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은 내부에서 오래 제기됐고, 이번 좌담은 여러 의견 가운데 하나로 듣겠다는 입장이다.
김 평론가는 "대형 문학잡지와 대형 출판사가 같은 자본의 소유라는 것이 베스트셀러 작가 위주 문학 시스템의 가장 큰 요소라는 점을 좌담에서 강조하고 싶다"며 "문학동네 등이 정말 문학을 사랑한다면 대형 문예지 운영을 포기하거나, 편집을 완벽하게 분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문학동네 외에도 '문학 권력'의 구성원으로 비판받은 창비와 문학과지성사, 그리고 권력의 가장 큰 피해자라고 할 수 있는 작가들까지 참석자를 확대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있다.
한 중진 소설가는 "누구나 알고 있고 오래 전부터 존재한다고 믿었지만 실체가 뚜렷하지 않았던 '문학 권력'에 대한 실질적인 논의를 공개적으로 해보자고 제안한 점은 긍정적으로 본다"며 "하지만 그런 의구심을 품은 더 많은 사람에게도 토론을 제안했다면 좋았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 평론가는 "이번 좌담은 문학동네 편집위원과 일부 비판적 평론가의 소규모 좌담이 아니라 창비와 문학과지성사 편집위원, 그리고 가장 큰 피해자이면서도 제 목소리를 못 내는 작가들이 모두 모이는 공개적인 토론회가 돼야 한다"며 "우선 문학동네가 제안한 것을 계기로 더 의미 있는 토론의 장으로 발전시켰으면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