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패션위크 참가비 인상·참가자격 변경 '논란'
디자이너연합회 "일방적으로 추진시 참가 거부"
(서울=연합뉴스) 권혜진 기자 = 10월 개최되는 '2016년 봄·여름 서울패션위크'를 앞두고 주관사인 서울디자인재단 패션팀(이하 재단)이 참가비를 이전 행사 때보다 인상하고 참가자격도 변경한 것에 대해 한국패션디자이너연합회(이하 연합회)가 수용 불가 입장을 밝히면서 업계에서 논란이 되고 있다.
29일 패션업계에 따르면 재단은 지난 19일 공식 홈페이지에 참가 브랜드 모집 공고문을 통해 1천석 규모와 700석 규모의 패션쇼 행사에 참가하는 비용을 각각 1천만원과 700만원으로 책정했다.
이는 2014년 3월~2015년 3월까지 3차례 진행된 서울패션위크(1천석 400만원, 700석 250만원)보다 2배 이상 인상된 액수다.
재단은 또 이번 행사부터 디자이너가 사업자의 대표이거나 공동대표이어야 한다는 조건을 참가 자격에 추가했다. 이와 함께 자가매장 보유도 필수 조건으로 제시했다.
연합회는 참가비 인상 및 참가자격 조건 강화에 대해 반대 의사를 밝혔다.
연합회는 "어떠한 협의 없이 서울시가 일방적으로 결정했다"면서 "특히 참가비 인상은 신진 디자이너들의 진입장벽을 높인 처사"라고 말했다. 또 "'사업자 대표 또는 공동 대표인 디자이너만 신청 가능하다'는 조건도 패션디자이너 브랜드들이 디자인과 경영 분리의 모델을 통해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라는 개념을 도입하는 추세를 고려할 때 산업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고 시대에 역행하는 기준"이라고 주장했다.
연합회는 패션디자이너와 관계자들이 참여하는 '서울패션위크 발전을 위한 공청회' 개최를 제안하고 서울시가 앞으로도 일방적인 결정으로 행사를 진행한다면 별도의 컬렉션 및 패션 페어 개최 등을 추진하겠다고 강조했다.
지난 26일 그동안 서울패션위크에 참가했거나 참가 예정인 디자이너 4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긴급 공청회를 연 연합회는 30일 오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간담회를 열어 이런 내용의 공식 입장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에 대해 재단측은 "서울시 출연금은 줄어든 반면 홍보·바이어·시설 등 요구수준은 높아지는 상황에서 기존 참가비만으로는 제대로 운영하기 힘들다"면서 "서울패션위크를 시민 축제가 아닌 패션비즈니스로 발전시키려면 참여하는 디자이너들이 최소한의 의무를 해야 한다는 생각"이라고 밝혔다.
재단은 미국 뉴욕패션위크의 참가비가 3만5천~6만달러인 점을 고려하면 현저히 낮고 주최 측의 투자비에 비해서도 15% 수준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또 참가자격 변경 문제와 관련, "서울패션위크는 어려운 비즈니스 환경 속에서 열심히 디자인과 사업을 이끌어나가는 대한민국의 패션 디자이너를 위한 행사"라며 "이를 위해 기업에 소속된 디자이너의 참여를 제한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서울패션위크에 참여하는 전 세계 바이어가 디자이너 매장을 방문해 비즈니스 규모와 제품 수준을 파악하고 지속적인 거래를 할 수 있으려면 쇼룸이 갖춰져야 한다는 판단 하에 자가매장 보유 조건도 내세웠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