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경북도, 삼국유사 목판 복원 (대구=연합뉴스) 경북도와 군위군이 26일 경북도청 강당에서 보각국사 일연이 저술한 삼국유사의 목판을 복원하기 위한 출범식을 열었다. 참석인사들이 목판복원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 2015.2.26 << 경북도 >> haru@yna.co.kr |
삼국유사 목판 500년만에 다시 새긴다…판각 시작
(대구=연합뉴스) 이승형 기자 = 경북도가 500여년 만에 삼국유사 목판을 다시 새기는 작업에 들어간다.
경북도는 군위군, 한국국학진흥원 등과 함께 2017년까지 30억원을 들여 삼국유사 목판 3개를 만들기로 했다.
현존하는 삼국유사 판본 가운데 조선 초기 판본, 조선 중기 판본 등을 모델로 삼아 목판을 복원하고, 각 판본을 모아 정리한 '경북도 교정본'을 별도의 목판으로 만든다.
도는 최근 전국 공모로 삼국유사 전문 목판장 8명을 최종 선발했다.
우선 다음 달부터 조선 중기 판본을 새기는 작업을 시작해 오는 11월 완료할 계획이다.
내년에는 조선 초기 판본, 2017년에는 경북도 교정본 등을 각각 판각한다.
목판을 이용해 찍은 인쇄본은 대학·연구소·도서관 등에 보급한다.
판각된 3개의 목판 세트는 신도청과 군위군, 한국국학진흥원 등에 각각 보관하며 일반인에게 공개한다.
삼국유사는 목판으로 제작돼 다수 인쇄본이 발간됐지만, 1512년 경주부윤 이계복이 간행한 임신본을 마지막으로 목판은 자취를 감췄다.
삼국유사의 저자 보각국사 일연선사는 1206년 경북 경산에서 태어나 군위 인각사에서 삼국유사를 집필하고 1289년 입적했다.
도는 지난해 삼국유사 목판사업을 위한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국비를 확보하고 학술세미나 등을 했다.
지난 2월에는 국내 최고 전문가를 추진위원과 자문위원으로 위촉하고, 판본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자문위원회를 10여차례 열어 고증했다.
객관적이고 정확한 공정을 위해서 홈페이지를 구축해 모든 과정을 공개한다.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삼국유사는 역사의 보고임에도 판본 13종만 남아있을 뿐 목판본은 전해지지 않고 있다"며 "경상도 개도 700년과 신도청 시대를 기념하기 위해 목판사업을 추진하게 됐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