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 핵협상 시한 넘어 진행…"오래 끌지는 않는다"(종합)
미국 "잠정합의안 범위에서 최종 타결 목표"
(워싱턴·서울=연합뉴스) 신지홍 특파원 장재은 기자 = 미국을 포함한 주요 6개국과 이란의 핵협상이 당초 30일(현지시간)까지였던 시한을 넘겨 계속 진행될 전망이다.
조시 어니스트 미국 백악관 대변인은 미국 협상단이 핵협상을 위해 오스트리아 빈에 남을 것이며 자체 부과한 시한도 연장하기로 했다고 29일 밝혔다.
뉴욕타임스(NYT)도 미국과 협상 파트너들이 더는 30일까지라는 협상 시한에 매달리지 않기로 했다면서 다만 미 의회 하계휴회 일정을 고려해 7월9일 전까지 최종 협상안을 의회로 넘기기를 바라고 있다고 전했다.
미국의 고위 관리는 NYT와의 인터뷰에서 "아무도 협상이 길게 연장되는 것을 원하지 않는다"고 잘라 말했다.
만수르 하키카트푸르 이란 의원도 미국 의회의 회기를 염두에 두고 7월 8일까지 최종 협상이 타결돼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의회는 핵협상 최종 합의안이 나오면 30일 동안 심의해 거부할지를 결정하기로 했다. 의회가 8월 8일부터 9월 7일까지 하계휴회에 들어가는 까닭에 7월 초에 합의안이 제출되지 않으면 의회 심의까지 두 달을 허송할 수 있다.
최종 합의가 이뤄질 수 있을지를 두고 협상 당사자들은 여전히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다.
오스트리아 빈에서 협상단을 이끌고 있는 존 케리 미국 국무부 장관은 29일 기자들에게 "아직 열심히 일하는 단계이고 협상이 타결될지 가타부타 얘기를 꺼내기에는 너무 이르다"고 말했다.
협상 양측은 현재 이란의 군사시설을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사찰 대상에 포함할지 등의 쟁점을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고 있다.
아야톨라 세예드 알리 하메네이 이란 최고지도자가 협상의 최종 지침으로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이란 군사시설 사찰 금지'를 비롯해 핵협상 타결 즉시 이란에 대한 제재 해제, 10년 이상 핵기술 연구개발 제한 금지 등을 지난 23일 제시했기 때문이다.
이란과 주요 6개국(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독일)이 4월에 이룬 잠정 합의안은 핵물질 생산 중단, 우라늄 농축을 위한 원심분리기 감축, 우라늄 농축을 위한 새 시설의 건립 금지, 25년간 IAEA의 정기적 사찰, 제재의 단계적 해제를 담고 있다.
미국의 고위 관리는 NYT 인터뷰에서 "지난 4월 합의한 잠정안을 토대로 포괄적인 합의를 이룰 것"이라며 "새로운 합의는 잠정 합의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진전될 것"이라고 말했다.
원심분리기 감축을 위한 수단, 이란에 대한 경제제재 해제의 시점과 속도, 최근 핵무기 개발 의혹에 대한 조치 등도 막판 쟁점으로 거론된다.
사찰의 범위, 제재 해제의 시점과 속도를 두고는 견해차가 더 큰 까닭에 구체적인 합의가 도출되기까지 적지 않은 진통이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카네기재단의 애널리스트 카린 사드자드푸어는 AFP통신 인터뷰에서 "이란이 절실히 원하는 게 있어 급한 쪽은 이란"이라고 분석했다.
사드자드푸어는 "이란은 경제 제재 때문에 수천억 달러, 유가 하락 때문에 수백억 달러의 손해를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백악관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핵협상과 관련한 서한을 이란 정부에 보냈다는 최근 이란 언론의 보도가 '정확하지 않다'고 밝혔다.
,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