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천억원짜리 부산 해수담수화 시설 '언제쯤 정상가동'
시, 방사성 물질 재검 주민 요구 수용…상업운전 개시 또 연기
(부산=연합뉴스) 신정훈 기자 = 부산시 상수도사업본부는 부산시 기장군 해수담수화 시설의 방사성 수질 검증을 재차 시행할 계획이라고 3일 밝혔다.
이에 따라 이달 중 개시하려던 상업운전이 또다시 수개월 지연될 것으로 보인다.
시 상수도본부는 "그동안 방사성 물질 오염 우려를 제기하며 상업운전을 반대한 기장군 주민을 비롯해 기장군의회, 부산시의회를 중심으로 '해양정수센터 협의회'라는 협의체를 꾸렸다"라며 "협의회 측이 객관적인 검증을 위해 시 상수도본부가 아닌 협의회 주관 수질검증을 희망해 이를 수용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기장군 해수담수화 시설은 바닷물을 마실 수 있는 물로 바꾸는 국내 첫 시설이다.
국비와 시비, 민자 등 1천954억원이 투입돼 지난해 준공됐다.
준공 후 시험 운전까지 마치고 지난해 11월부터 기장군과 해운대구 송정동 일원에 물을 공급할 예정이었지만 주민과 환경단체가 방사성 물질 오염 우려를 제기해 지금까지 상업운전에 들어가지 못하고 있다.
이 시설은 인근에는 고리원전이 위치하고 있다.
시 상수도본부는 상업운전 개시가 무산되자 안전성 우려를 불식시키고자 원자력연구원 등지에 32차례에 걸쳐 수질검사를 의뢰해 '방사성 물질 불검출'이란 결과를 받아들었다.
그리고 수질분야 세계 최고 권위의 미국위생재단(NSF·National Sanitation Foundation)에도 두 차례 수질검사를 의뢰해 NSF로부터 'NSF 수질기준 통과'라는 통보까지 받았다.
시 상수도본부는 "각종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주민을 설득해 하반기부터 급수를 시작할 계획이었지만 '수년간에 걸친 지속적인 모니터링 후 판단'을 주장하는 주민과의 의견 차이를 좁히지 못했다"고 밝혔다.
시 상수도본부 측은 "주민 불신을 해결하지 않고는 상업운전이 불가능하다는 판단에 따라 협의회 요구를 수용했다"라며 "협의회 주관 수질검증 결과를 본 뒤 급수 시행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부산시,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광주과학기술원, 두산중공업이 공동 시행한 해수담수화 시설은 '깨끗한 식수 공급'이라는 시 숙원 사업의 하나로 부산시 기장군 대변리 4만7천㎡에 건립됐다.
현재 부산은 식수의 90% 이상을 온갖 오염원에 노출된 낙동강에 의존하고 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