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카오 역대 최대 성매매 단속…처벌은 지지부진
(홍콩=연합뉴스) 최현석 특파원 = 올해 초 마카오 정부가 1999년 주권이 중국으로 반환된 이후 최대 규모의 성매매 단속을 벌인지 반년이 지났지만, 윤락 알선 주동자 기소 등 후속 절차가 느리게 이뤄지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
마카오 경찰은 지난 1월 10일 성매매 혐의 조직을 적발하고서 카지노 재벌인 스탠리 호(何鴻桑) SJM 홀딩스 회장의 조카인 앨런 호(何猷倫) 리스보아 호텔 이사를 포함해 6명을 체포했지만, 6개월간 정식 기소를 하지 않고 있다고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가 5일 보도했다.
경찰은 이들이 2013년부터 리스보아 호텔의 룸 100개를 이용해 4억 파타카(약 563억 원)를 벌어들인 것으로 보고 있다.
경찰은 성매매에 종사한 혐의가 있는 96명도 함께 체포했지만 이들에 대한 공식 조사 역시 이뤄지지 않고 있다.
이에 대해 사법절차에 익숙한 한 관계자는 "체포 후 거의 7개월간 기소가 이뤄지지 않았다"며 "이는 과도한 것이며 말이 안 된다"고 지적했다.
조사 기간이 길어지면서 인신매매 가능성에 대한 수사가 어려워지고 있다는 주장도 나오고 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구금된 성매매 종사 혐의자 중 20명은 불법 이주자였으며 10명은 가짜 신분증을 들고 있었지만, 이들 가운데 일부가 인신매매의 희생자인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사건을 경찰에서 넘겨받은 마카오 검찰원은 사건이 법적 비밀에 해당한다며 정보 제공을 거부했다.
테레사 봉 마카오대 교육조사센터 이사는 "검찰원의 조사 기간에 보호소에 있는 많은 여성이 본국에 있는 가족들이 위협을 받자 증언하기를 포기하고 있다"며 "당국이 더 적극적이어야 하며 조사 기간을 단축해야 한다"고 말했다.
마카오 정부는 2013년 인신매매 희생자 38명을 찾아내 3건을 기소했지만 작년에는 인신매매 희생자 4명만 찾아냈으며 기소는 한 건도 이뤄지지 않았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