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중 한국기업 현지직원 절반 이상 3년내 이직
무역협회 "인력 정책이 중국 사업의 성패 좌우"
(서울=연합뉴스) 이웅 기자 = 중국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현지 직원들의 잦은 이직을 방지하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 베이징지부가 7일 공개한 '중국내 한국기업의 인력운용 실태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주중 한국 기업 256개사를 조사한 결과 현지에서 고용한 직원의 절반 이상이 3년 내 이직해 인력 자원 유실이 심한 것으로 분석됐다.
응답 기업의 52.7%는 직원들의 평균 재직 기간이 1∼3년이라고 답했으며 4∼6년이 30.1%였다.
10년 이상이라고 답한 기업은 3.5%에 불과했으며 7∼9년은 5.9%에 그쳤다.
인력 관리상의 애로사항으로는 응답 기업의 42.2%(이하 복수응답)가 직원들의 빈번한 이직을, 34.4%는 적임자를 찾기 힘든 인재 수급 불균형을 들었다.
인력난에 대한 대응 방안으로는 절반에 가까운 48.4%가 임금인상을 제시했으며 업무효율화(40.6%)와, 직원복지 제고(35.2%) 순이었다.
하지만 현지 직원들의 잦은 이직을 막고 우수한 인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임금인상이나 복지제고보다 고위직 승진과 회사 발전 가능성 등 비전을 공유하는 것이 우선이라고 무역협회는 분석했다.
540명의 중국인 구직자를 대상으로 한국 기업들의 인력관리 개선사항을 조사한 결과 53.7%가 현지 채용 직원의 고위직 승진을 꼽았으며 중국 문화에 대한 이해(47.8%)와 임금인상(39.8%)이 뒤를 이었다.
기업 선택 기준으로는 82.2%가 개인의 발전 가능성을 들었으며 임금(57.2%), 복지(50.6%), 회사 규모와 브랜드파워(44.4%) 순이었다.
이를 고려할 때 현지 인재들을 폭넓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인 인력 관리와 함께 과감한 권한 이양을 통한 동기 부여가 필요하다고 무역협회는 지적했다.
최용민 무역협회 베이징지부장은 "올 하반기 한중 FTA가 발효되고 중국 내수시장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생산보다 유통, 금융 등 서비스분야에서 현지 직원 채용이 크게 늘어날 것"이라며 "장기 근무를 유도하는 인력 정책이 중국 사업의 성패를 좌우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