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릭스 역사의 이정표"…제재국면 러시아도 '기대만발'
![]() |
△ '잘해봅시다~'. 러시아에서 열리고 있는 브릭스 정상회의에서 만나 반갑게 악수하고 있는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
중국, 자본금 천억달러 규모 NDB 출범준비도 완료
브릭스정상회의 계기 첫 총회…AIIB와 '동시출격' 가능성
"브릭스 역사의 이정표"…제재국면 러시아도 '기대만발'
(베이징=연합뉴스) 이준삼 특파원 = 새로운 국제금융기구인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출범 준비를 완료한 중국이 또 하나의 거대 국제금융기구인 브릭스 신개발은행(BRICS New Development Bank·NDB)의 설립 절차도 사실상 마무리했다.
9일 인민일보 인터넷판인 인민망(人民網)에 따르면 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남아프리카공화국 등 브릭스 회원국의 NDB 협상 대표들은 브릭스 정상회의가 열리기 전날인 7일(현지시간) 러시아 모스크바에서 NDB 제1차 이사회를 열었다.
이들은 이 자리에서 NDB 조직·운영을 위한 준비작업을 완료했다. 브릭스 회원국 입법기관들은 이미 '신개발은행설립 협정'을 비준한 상태다.
NDB의 본부는 중국 상하이(上海)에 설치된다. 창립회원국은 브릭스 5개국이지만 회원가입은 유엔 회원국 전체에 개방된다.
초대 총재는 카마트 전 인도공업신용대출투자은행 최고경영자가 선출됐다. 임기는 5년이다.
인민망은 "법정자본금 1천억 달러와 초기자본금 500억 달러는 5개 창립회원국이 평균 20%씩 분배한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투표권은 5개 국가가 동등하게 배분한 것으로 예상된다.
NDB는 지난해 브라질에서 열린 브릭스 정상회의에서 5개국 정상이 설립에 합의한 은행이다. 당시 세계 언론들은 브릭스의 자체 개발은행 설립은 세계경제 질서의 변화를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WB), 아시아개발은행(ADB) 등 일부 선진국이 주도하는 글로벌 금융 시스템을 재편하려는 중국을 비롯한 개발도상국들의 의지가 반영된 새로운 국제금융기구라는 뜻이다.
신화통신은 "(NDB는) 브릭스 역사의 이정표로 브릭스의 실질적 통합을 촉진하게 될 것"이라며 "수백억 달러의 개발은행은 회원들이 안고 있는 개발문제를 바로잡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미국의 집요한 반대에도 AIIB 출범 준비를 성공적으로 완료한 중국은 자국이 중심이 된 또 하나의 거대 국제금융기구를 만들게 됨에 따라 미국에 맞선 국제질서 재편작업은 더욱 탄력을 받게 됐다는 관측이 나온다.
중국언론들은 NDB의 첫 투자가 올해 연말께 이뤄질 수 있다고 전망하며 두 개의 국제금융기구가 동시 가동에 돌입할 가능성을 점쳤다.
첫 이사회에서는 은행 발전을 위한 전략도 논의됐다.
안톤 실루아노프 러시아 재무장관은 이 자리에서 "브릭스는 회원국에 대해 기초 시설 자금을 지원하는 것을 먼저 고려해야 한다"고 말했다. 러시아에 대한 자금지원을 염두에 둔 발언으로 해석된다.
일부 전문가는 "세계은행이나 아시아개발은행이 서방의 반대로 러시아 지원을 못 하는 상황에서 NDB는 러시아에 큰 희망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일부 외신에서는 AIIB와 NDB가 경쟁관계를 형성할 것이라는 전망도 흘러나온다.
그러나 중국 외교부는 "두 기구는 상호보충, 상호촉진 관계를 유지하며 세계경제 발전을 지원할 것"이라며 그런 시각을 일축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