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경기교육청 메르스 대책본부 운영 종료 (수원=연합뉴스) 경기도교육청은 9일 화상으로 학교안전회의를 열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비상대책본부와 상황실 운영을 10일 오후 6시에 종료하기로 결정했다. 회의에서는 또 각 학교의 안전점검 활동에 학생들이 직접 참여하는 방식을 도입하기로 했다. 2015.7.9 <<경기도교육청>> ktkim@yna.co.kr |
경기도 학교 안전점검에 학생 참여…시범운영후 확대
학부모 확진자 제로, 도교육청 메르스대책본부 운영 종료
(수원=연합뉴스) 김경태 기자 = 경기도교육청은 9일 이재정 교육감 주재로 학교안전회의를 열어 각 학교의 안전점검 활동에 학생들이 직접 참여하는 방식을 도입하는 등 안전정책 방향을 학생중심, 현장중심으로 전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학교 현장에 대한 안전점검이 인력 부족 등의 이유로 형식적인 점검에 그친다는 지적을 불식시키면서 사고의 피해자가 될 수도 있는 학생과 교직원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해 안전의식을 높이고 사고예방 효과를 거둘 수 있다는 판단이다.
도교육청은 이를 위해 학교 여건에 따라 학생, 교직원이 참여하는 안전점검 동아리를 만들어 항목별로 안전점검 과제를 수행하는 방안을 검토하기로 했다.
소방, 전기 등 전문성이 필요한 분야 점검은 전문가와 함께 참여해 안전사고 예방의 원리에 대한 이해를 높이게 할 방침이다.
도교육청은 우선 일부 학교를 선정해 시범 운영한 뒤 평가를 거쳐 전체 학교로 확대 시행할 예정이다.
아울러 도교육청은 이날 학교안전회의에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상황이 안정적인 상태에 이르렀다고 판단하고 비상대책본부와 상황실 운영을 10일 오후 6시에 종료하기로 결정했다.
그러나 이후에도 남부청사 체육건강교육과에 대책팀을 두고 메르스가 완전 종식될 때까지 상황을 관리한다.
도교육청 메르스 비상대책본부와 상황실은 지난 6월 2일 설치된 이후 39일간 24시간 '경계' 수준에 준해 운영됐다.
지난달 2일에는 학교장 판단과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자율적으로 휴업을 결정하도록 휴업 기준을 제시했으며, 같은 달 7일에는 선제적 차원에서 7개 지역 일괄휴업을 결정했다. 이어 23일에는 지역 특성에 맞는 효율적인 대처를 위해 학교와 교육지원청 지원 체제로 전환했다.
이날 현재 발열과 기침 등으로 인한 등교중지 학생은 144명이며 37명이 자진결석했다. 학부모 확진자 1명이 완치 퇴원함에 따라 학생, 교직원, 학부모 등 학교 구성원 가운데 확진자는 한 명도 없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