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반부패당국 "공무원 부패의 덫에 빠트린 건 국유기업" 비판
국유기업에 대한 고강도 사정작업 지속 시사
(홍콩=연합뉴스) 최현석 특파원 = 중국 반(反)부패 당국이 공무원 비리를 일부 국유기업 경영진의 뇌물 제공 탓이라고 비판했다.
중국공산당 중앙기율검사위원회(기율위)는 13일(현지시간) 웹사이트에 게시한 글에서 "(일부 국유기업 경영진이) 단체와 파벌을 형성하기 위해 자신들이 다루는 국유자원을 이용하고 지도간부를 '포위 공격'(圍獵)하기 위해 이익을 제공했다"고 비난한 것으로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등이 14일 보도했다.
이는 고위 공무원에게 뇌물 등을 제공한 국유기업에 대한 고강도 사정 작업이 지속할 것임을 시사한 것으로 분석된다.
중국 국가행정학원 쉬야오퉁(許耀桐) 교수는 '포위 공격'이 간부에게 뇌물을 제공해 함정에 빠뜨리는 것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쉬 교수는 당국이 부패와 비리 죄가 적용돼 무기징역을 선고받은 저우융캉(周永康) 전 정치국 상무위원 겸 정법위원회 서기 사건을 염두에 두고서 이런 비판을 제기했다고 지적했다.
쉬 교수는 "(저우융캉이) 중앙정부에 합류한 이후 출세를 위한 지지를 확보하고 당내 권력을 형성하기 위해 중국석유천연가스집단(CNPC) 내 자신의 권력기반을 지속적으로 이용했다"고 말했다.
마창성(馬長生) 후난(湖南)사범대 법학교수도 "국유기업 임직원이 이익 제공 등 다양한 수법을 통해 지도 간부에 대한 통제력을 확보하고 국유기업에 이익을 제공하도록 압박한 것과 관련이 있다"고 말했다.
한편, 기율위는 문화혁명기 하방(下放·지식인을 노동 현장으로 보냄) 조치된 청년들과 관련, "그들 중 많은 이들이 도시로 돌아와 부모의 직업을 물려받았다"며 "그들의 배우자와 아이들이 같은 기업에 배치돼 (국유기업에) 지속적으로 친척이 집중되는 문제를 초래했다"고 지적했다.
기율위는 올해 중앙순시조 활동을 통해 국유기업 26개사를 조사했으며 현재 추가로 17개 기업을 조사하고 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