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영록 시장 "김포 행정관할,경기 본청→북부청 변경"
경기북부 동일 생활권·접경지역 연계 개발 등 위해 추진
(김포=연합뉴스) 김창선 기자 = 유영록 경기도 김포시장은 16일 시 상급 행정기관을 경기 본청에서 경기 북부청으로 변경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유 시장은 이날 민선 6기 2년차를 맞아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행정효율성과 교통편의 향상 등을 위해 이처럼 경기북부권 편입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접경지역 균형개발 사업, 도로·철도 등 남북연계 교통 인프라와 남북경협 사업 등 통일 기반사업, 유사시 비상기획, 군-관 협력사업 등 김포와 밀접한 업무가 모두 경기 북부청에 속해 있어 변경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그는 본청에 속해 있다보니 이들 사업을 하려면 다시 북부청과 협의해야 하고, 관련 예산을 제때 받지 못하는 경우도 있었다고 애로사항을 털어놨다.
유 시장은 김포는 한강을 사이에 두고 있는 고양·파주시와 일산대교로 연결돼 동일 생활권이고 이들 시와 공동으로 추진하는 사업도 있다고 덧붙였다.
김포에서 의정부 소재 경기 북부청(41㎞)이 수원 경기 본청(60㎞)보다 훨씬 가까워 오가는 시간을 많이 줄일 수 있는 점도 고려됐다.
김포시는 지난달 이런 내용이 담긴 김포시 경기북부권 편입 검토 보고서를 경기본청에 보내 협조를 요청했다.
김포지역 출신 경기도의원 3명도 같은 입장을 밝히고 있다.
이들 의원은 오는 10∼11월 도의회에 이를 정식 안건으로 상정, 심의할 계획이다.
도의회가 찬성해 경기 본청에 보내면 본청은 행정자치부에 지방자치법 시행령(행정1부지사·2부지사 사무분장표)을 개정, 공고하게 된다.
유 시장은 "이들 절차가 내년 상반기까지 마무리돼 늦어도 하반기엔 북부청으로 옮겨 갈 것으로 본다"고 전망했다.
그러나 행정 편의주의적으로 관할을 변경하면 다른 지자체들의 변경요구가 잇따를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경기 본청이 매우 미온적인 것으로 알려져 최종 편입 여부는 불투명하다.
경기 본청과 북부청 산하 시·군은 한강 이남과 이북을 기준으로 정해져 있다.
한편 유 시장은 2018년까지 고촌읍 향산리와 걸포동 일대 112만1천㎡에 문화와 첨단기술이 융합된 창조형 미래도시를 조성하는 한강시네폴리스 사업을 늦어도 올해 안에 착공할 것이라고 말했다.
환경영향평가 등 행정적 절차가 마무리되고 있고 시네폴리스 사업을 위한 SPC(특수목적법인)도 예정대로 운영되고 있다고 그는 설명했다.
유 시장은 2018년 10월 개통을 목표로 건설 중인 도시철도와 관련, "시민 교통편의를 위해 최소한 몇개월이라도 앞당겨 조기개통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유 시장은 "차별화한 정책과 지리점 이점을 살려 김포를 남북협력과 통일 전진기지와 아라뱃길·문화 유적지·쇼핑이 연계된 문화관광 도시로 만들 것"이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