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장대 온천 반대토론회서 '괴산 저수지' 구상 재등장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7-16 17:40:41
  • -
  • +
  • 인쇄
"경북으로 오수관로 설치, 개발 예정지 매입" 제안도


문장대 온천 반대토론회서 '괴산 저수지' 구상 재등장

"경북으로 오수관로 설치, 개발 예정지 매입" 제안도



(괴산=연합뉴스) 변우열 기자 = 16일 충북도의회가 개최한 '문장대 온천개발 반대 토론회'에서 온천 개발 저지를 위한 다양한 주장이 나와 눈길을 끌었다.

박일선 도민대책위원회 준비위원장은 "문장대 온천 개발을 항구적으로 저지하기 위해 이 일대를 지방상수도 보호구역으로 지정하는 것이 필요하다"며 "문장대의 하류인 신월천의 물을 상수원으로 사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신월천을 괴산 일대 주민의 식수원으로 사용하면서 이 일대를 상수도 보호구역으로 묶으면 자연스럽게 상류 수질 오염을 유발하는 개발을 막을 수 있다는 논리다.

박 위원장은 이를 위해 저수지 조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박 위원장은 상수원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높이 15m 이하의 저수지를 만들자 제안했다.

홍현대 충북도 환경정책과장은 여기서 한발 더 나갔다.

홍 과장은 "문장대 온천개발을 저지할 최후의 수단으로 40m높이의 저수지를 만드는 방안을 검토할 수도 있다"며 "이 일대는 계곡의 폭이 좁아 저수지를 조성하면 상류의 (문장대 온천 개발예정지) 일부 지역이 물에 잠길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저수지 조성 구상은 2013년 문장대 온천개발 지주조합이 환경영향평가서 초안을 냈을 당시 임각수 괴산군수가 처음으로 제기했으나 댐을 조성하려는 의도 아니냐는 의심을 사면서 논란이 되다가 수면 아래로 가라앉았다.

홍 과장은 문장대 온천에서 나오는 오수를 경북 문경쪽으로 돌리기 위한 오수관로 설치 구상도 거론했다.

홍 과장은 "이 문제는 지주조합 측이 검토하기도 했으나 100억 원이 넘는 예산이 들어 포기했다"며 "개발이 현실화된다면 오수관로를 충북도나 괴산군의 예산으로 설치하는 문제를 검토할 필요도 있다. 이러면 오수가 흘러가게 될 문경 쪽에서 강력히 반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주장은 문장대 온천개발로 촉발된 경북과 충북의 갈등을 경북지역 내 상주·문경과의 대결 구도로 전환시켜 온천개발을 저지하자는 의도가 담긴 것이다. 일종의 이이제이(以夷制夷) 전략이다.

막대한 사업비가 소요되는 저수지 조성이나 오수관로 설치를 불사하겠다는 충북도의 구상은 어떤 대가를 치르더라도 문장대 온천 개발을 저지하겠다는 이 지사의 강한 의지가 반영된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날 토론회에 참석한 한 주민은 "문장대 온천개발의 논란을 종식하기 위해 개발 예정지를 충북이 모두 매입해 이 일대를 휴양공간으로 조성하자"는 제안을 했다.

이날 토론회 사회를 맡은 임회무 도의원은 "오늘 토론회에서 제기된 다양한 의견은 문장대 온천개발을 반드시 저지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라며 "다양한 의견을 문장대 온천개발 저지 운동을 추진하는데 참고하겠다"고 마무리지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