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말레이 피격 사건 관련 자체 결의안 안보리 제출
국제조사단 조사 객관성에 의문 제기…국제법정 설치 거듭 반대
(모스크바=연합뉴스) 유철종 특파원 = 러시아가 지난해 7월 우크라이나 동부 지역에서 격추된 말레이시아 여객기 참사와 관련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 자체 결의안을 제출했다.
안보리 회원국들은 20일(현지시간) 비공개회의에서 러시아 결의안을 검토한 것으로 전해졌다.
인테르팍스 통신에 따르면 러시아 결의안은 네덜란드 주도 국제조사단 조사의 객관성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국제민간항공기구(ICAO)가 사고 원인 조사에서 좀 더 적극적인 역할을 할 것을 주문했다.
결의안은 또 책임자의 죄를 물어야 한다는데 동의하면서도 사고 진상 규명을 위한 국제법정 설치에는 반대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앞서 말레이시아가 안보리에 제출한 결의안에는 사고 책임자 처벌을 위한 국제법정 설치 제안이 포함됐다. 호주, 벨기에, 네덜란드, 뉴질랜드, 우크라이나 등이 이 결의안을 지지했으나 러시아는 반대 입장이다.
비탈리 추르킨 유엔 주재 러시아 대사는 안보리 회원국들의 러시아 결의안 검토가 끝난 뒤 "여객기 참사와 관련한 국제법정 설치는 유엔 규정에 어긋나기 때문에 우리 결의안에도 이 문제가 포함되지 않았다"며 국제 법정 설치 반대 입장을 거듭 확인했다.
추르킨 대사는 그러면서도 "안보리에서 러시아 결의안과 서방 결의안의 절충안을 찾으려는 분위기가 있다"고 전했다.
말레이시아항공 소속 MH17 여객기는 지난해 7월 17일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을 떠나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로 가던 도중 정부군과 분리주의 반군 간 교전이 치열하던 우크라이나 동부 도네츠크주(州) 상공에서 외부 물체의 공격을 받고 추락, 탑승자 298명 전원이 숨졌다.
하지만 참사의 진상은 지금까지도 여전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네덜란드가 이끄는 국제조사단이 진상 규명에 매달리고 있는 가운데 우크라이나 정부와 분리주의 반군은 서로 책임을 상대방에 떠넘기고 있다. 러시아도 반군 편을 들며 공방에 가세하고 있다.
진상 규명이 난관에 부닥치자 말레이시아 등 피해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통한 국제법정 설치를 추진하고 있다.
앞서 말레이시아, 우크라이나, 호주, 네덜란드, 벨기에 등 5개국은 국제법정만이 책임자들을 가리고 사건에 대한 공정한 판결을 내릴 수 있다며 국제법정 설치를 요구했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