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 케냐서 10살때 마지막 본 아버지 숨결 느낄까(종합)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7-25 06:04:31
  • -
  • +
  • 인쇄
나이로비 도착하자마자 의붓어머니 등 친척 30여 명과 저녁식사

오바마, 케냐서 10살때 마지막 본 아버지 숨결 느낄까(종합)

나이로비 도착하자마자 의붓어머니 등 친척 30여 명과 저녁식사



(워싱턴=연합뉴스) 신지홍 특파원 =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23일 '아버지의 나라' 케냐로 향하면서 그와 작고한 부친의 관계가 주목받고 있다.

오바마 대통령의 취임 후 첫 케냐 방문이 순탄치 않았던 그의 유년시절의 '뿌리 찾기'로 이어질 수 있다는 관측 때문이다.

오바마 대통령이 아버지를 마지막 본 것은 10살 때인 1971년이었다. 하와이 대학에서 유학 중이던 아버지는 캔자스 출신의 백인 스탠리 앤 던햄과 만나 결혼했고 슬하에 오바마를 두게 된다.

하지만, 부부관계는 2년 만에 파경을 맞았고 오바마 시니어는 하버드 대학으로 유학을 가, 아들 곁을 떠났다.



케냐의 경제공무원이었던 아버지는 알코올중독으로 고통받다가 46세인 1982년 교통사고로 비명횡사했다.

의회전문매체 '더 힐'(The Hill)은 "오바마 대통령의 첫 케냐 여행에서 정말 기대되는 것은 가족 관계의 구축"이라며 "특히 오바마 대통령과 그가 거의 알지 못하는 복잡한 남자인 오바마 시니어와의 관계가 큰 주목을 받을 것"이라고 전했다.

실제 오바마 대통령은 대통령 취임 전후 여러 차례 '아버지의 부재'에 대한 회한을 드러냈다.

그는 2008년 '아버지의 날' 연설에서 아버지 없이 자란 것이 자신을 더 나은 사람으로 가도록 채찍질했다면서도 "아버지의 부재라는 사이클을 끊고, 내 딸들에게 좋은 아버지가 되는게 나의 의무라고 결심했다"고 토로했다.

또 저서 '내 아버지로부터의 꿈'이라는 회고록에서 "내 자신 속에서 추구했던 마틴 루터킹이나 말콤 엑스, 넬슨 만델라 등의 속성은 아프리카의 아들이자 흑인인 내 아버지의 이미지를 통해서다"라고 적었다.

그가 미국 대통령 취임 후 유색 아동들을 지원하는 정책인 '내 형제의 보호자'(My Brother's Keeper) 프로그램을 강화한 데 이어 퇴임 후에도 활동을 지속해가기로 한 것도 이런 가족사와 무관하지 않다.

다만, 오바마 대통령의 이번 케냐 방문은 철통같은 경호와 보안, 촉박한 일정 탓에 '뿌리 찾기'에 그다지 우호적이지 않다.



수도 나이로비에만 머물기 때문에 조상 마을 코겔로와 오바마 대통령의 방문을 기대하며 새 단장을 마친 부친의 묘지도 찾지 못할 것이라고 한다.

오바마 대통령은 이날 나이로비에 도착한 직후 빌라 로사 켐핀스키호텔에서 의붓어머니인 마마 사라와 이복동생인 아우마 오바마 등 친척 30여명과 저녁식사를 함께 했다. 분위기는 매우 화기애애했다고 언론은 전했다.

백악관은 오바마 대통령이 연설을 통해 가족사에 대해 일부 언급할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앞서 오바마 대통령의 이복동생인 아우마 오바마는 지난주 CNN에 나와 "아버지가 살아있다면 '잘 됐다. 너는 오바마다'라며 매우 자랑스러워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