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2년여간 비리 공직자로부터 3조7천억원 몰수
(상하이=연합뉴스) 정주호 특파원 = 중국 정부가 반(反)부패 드라이브를 통해 비리 공직자들로부터 200억 위안가량을 몰수했다.
30일 중국 신화망(新華網)에 따르면 중국 중앙기율검사위원회(기율위) 한진핑(韓晋萍) 처장은 2012년 11월 18대 전국대표대회(당대회) 이후 지난달 말까지 비리 공직자들이 수뢰, 횡령 등을 통해 얻은 201억 위안(3조7천억원)을 압류 및 몰수 처리했다고 밝혔다.
이는 사법기관이 처리한 범죄소득을 제외한 금액이다.
여기에는 자택에 현금 1억2천만 위안과 순금 37㎏을 숨겨놓고 부동산 68채를 보유하고 있던 베이다이허(北戴河) 용수공급공사의 마차오쥔(馬超群) 총경리의 몰수 자산도 포함돼 있다.
사정당국은 국가에너지국 석탄사(司) 웨이펑위안(魏鵬遠) 부사장의 집에서 찾아낸 2억 위안의 현금도 몰수 처리했다. 당시 이 돈의 액수를 확인하려고 동원한 돈 세는 기계 4대가 파손되기도 했다.
상당수 비리 공직자들은 법원 이송 전에 처벌을 경감받기 위해 자진해서 불법소득을 내놓기도 한다.
신중국 건국 이래 최대의 부패인사로 꼽히는 저우융캉(周永康) 전 중앙정치국 상무위원도 비리 혐의로 체포돼 조사를 받은 뒤 자신의 친척들에게 그동안 받은 뇌물 전부를 내놓아달라고 호소하기도 했다.
한 처장은 불법소득을 처리하는 방식에는 몰수, 추징, 반환 등 세 가지가 있다며 모든 금전은 국고로 귀속되고 물품의 경우엔 경매 등을 통해 금전화한 뒤 국고로 환수하는 절차가 진행된다고 설명했다.
그는 전국 기율위 조직의 반부패 활동을 통해 387억 위안(7조2천억원)의 경제적 손실을 만회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전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