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루마 교수 "트럼프 현상은 직업정치에 대한 반란"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8-04 03:17:42
  • -
  • +
  • 인쇄
아베 역사인식 비판 동참 역사학자…"미국뿐 아니라 전세계적 현상"

브루마 교수 "트럼프 현상은 직업정치에 대한 반란"

아베 역사인식 비판 동참 역사학자…"미국뿐 아니라 전세계적 현상"



(워싱턴=연합뉴스) 김세진 특파원 = 미국 공화당에서 막말 파문에도, 대선주자들 중 도널드 트럼프에 대한 인기가 높은 데 대해 미국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나타나는 직업으로서의 정치에 대한 반란이라는 분석이 제기됐다.

역사학자인 미국 바드대학의 이안 브루마 교수는 3일(현지시간) 기고전문 매체 프로젝트 신디케이트를 통해 "직업 정치인 계급에 대해 염증을 느끼는 사람이 많아진 상태가 '트럼프 현상'에 대한 기본 원인"이라고 주장했다.

브루마 교수는 "과거에는 좌파 정치인들이 주로 노동조합에서, 우파 정치인들이 주로 기업가나 지주 가운데서 나오는 등 사회 각 계급의 이해가 그들을 대표하는 정당을 통해 대변됐다"고 전제했다.

그는 "그러나 사람들은 다른 정당에 속했다는 정치인들의 차이를 점점 느끼지 못하게 돼 버렸다"며 "정치 제도는 이념의 승리나 한 집단의 이해를 대변하는 기구라기보다 같은 집단에 속한 사람들이 일자리를 놓고 경쟁하는 체제로 점점 변해갔다"고 지적했다.

이런 정치 현실에 사람들이 거부감을 느낀 결과가 '트럼프 현상' 혹은, 이탈리아 좌파 정치인 베페 그릴로의 이름을 따 '그릴로 현상'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한 브루마 교수는 이런 현상이 "직업으로서의 정치에 대한 반란"이며 이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정파간 협력을 통치를 위한 협력이 아닌 단순한 부패로 치부해 버리기도 한다"고 해석했다.

코미디언 출신인 베페 그릴로는 이탈리아에서 반 유럽연합 성향 좌파정당 '오성운동'을 이끌고 있다.

브루마 교수는 "민주주의에서는 타협 없이 국가를 통치할 수 없다"며 트럼프 같은 "대중영합주의자(포퓰리스트)들에 의한 정치제도의 훼손은 이미 발생했다"고 우려했다.

중국과 일본 문화에 대한 연구성과는 물론 언론 활동이나 다큐멘터리 영화 제작 같은 광범위한 분야에서의 활동으로도 잘 알려진 석학인 브루마 교수는 지난 5월 전 세계 역사학자들이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역사인식 비판 성명을 낼 때 참여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