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싱크탱크 "그리스 경제회생 위해 채무탕감해야"
(서울=연합뉴스) 이 율 기자 = 국제채권단과 3차 구제금융 협상을 벌이고 있는 그리스가 항구적인 경제불황에 빠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그리스의 채무를 국내총생산(GDP) 대비 55% 이상 탕감해줘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5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런던 소재 싱크탱크인 국립경제사회연구소(NIESR)는 이날 발간한 보고서에서 모형분석 결과 그리스의 채무를 감내할만한 수준으로 회복시키려면 최소한 GDP의 55%에 해당하는 채무탕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는 국제통화기금(IMF)이 3차 구제금융 참여의 전제조건으로 요구한 GDP 대비 채무탕감 비율 30%의 2배에 가까운 규모다.
NIESR는 그리스가 2020년까지 국내총생산(GDP) 대비 부채비율을 2012년 2차 구제금융 당시 목표치였던 120% 선으로 감축할 수 있도록 하려면 55%를 넘어서는 규모의 채무탕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IMF에 따르면 2014년 말 현재 그리스 정부의 총부채 규모는 3천173억 유로며, GDP 대비 부채비율은 177%에 이른다.
NIESR는 만약 국제채권단이 그리스의 채무탕감은 외면한 채 비현실적인 재정목표를 달성하라고 고집한다면 그리스 경제는 영원한 불황에 빠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그리스가 3차 구제금융 조건으로 받아들인 부가가치세 인상으로 내년 그리스의 국내총생산은 1% 감소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그리스 경제가 역성장을 멈추는 내년 중순이 되면 그리스의 GDP는 2010년 그리스 부채위기가 시작됐을 때에 비해 30%, 2001년 그리스가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에 가입했을 당시에 비해 7% 줄어든 규모로 쪼그라들 것이라고 보고서는 내다봤다.
그리스의 경제가 다시 성장세로 돌아선다고 하더라도 자본통제에 따른 경기하강이 급속도로 진행된다면 현재 20%를 넘어선 실업률이 추가로 상승할 수 있다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아울러 그렉시트(그리스의 유로존 탈퇴) 위협이 지속되면서 투자가 타격을 입고, 조세부담이 늘어나면서 가계수입은 더욱 줄어들 것으로 우려된다고 전망했다.
잭 미닝 NIESR 연구위원은 "부가가치세 인상으로 올해와 내년 그리스의 소비는 더 위축되고, 경제규모는 더욱 줄어들 것"이라고 내다봤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