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터넷기업에 '사이버 파출소' 설치…감시 강화
(서울=연합뉴스) 권수현 기자 = 중국 정부가 주요 인터넷기업에 사이버 보안을 관리하는 공안(경찰) 사무실을 설치해 인터넷 감시·단속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5일(현지시간) dpa통신과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이 보도했다.
중국 공안부는 이날 성명을 내고 주요 인터넷 사이트와 인터넷기업 안에 '사이버 파출소'(網安警務室)를 개설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번 결정은 업체 안에 사이버보안 담당 공안 요원을 배치해 기업과 협력함으로써 해킹, 개인정보 남용, 사이버 테러 등 온라인 범죄에 더 신속하게 대처하기 위한 것이라고 공안부는 설명했다.
천즈민(陳智敏) 중국 공안부 부(副)부장은 "사무소 설치를 통해 온라인상의 범죄행위를 초기단계에서 잡아내고, 기업들의 보안관리와 방어능력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천 부부장은 또 "인터넷 사기, 유언비어, 테러, 폭력, 총기, 포르노물 등과 관련된 인터넷상의 불법행위에 대한 단속을 강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공안부는 사이버 파출소가 정확히 어떤 인터넷 기업체에 개설되는지, 외국 기업도 거기에 포함되는지 등에 대해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WSJ와 파이낸셜타임스(FT) 등 서방 언론들은 알리바바와 텅쉰(騰迅·텐센트), 바이두(百度) 등 중국 유수의 인터넷 기업들이 주요 대상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대해 WSJ는 이전까지 검열기준에 따르지 않는 웹사이트를 폐쇄하는 등의 방식을 선호했던 중국 당국이 이처럼 직접적으로 사이버 감독·관리에 나선 것은 이례적이라고 분석했다.
이와 관련, 알리바바는 대변인을 통해 중국 당국과 함께 온라인 불법행위와 싸우고 있다면서 "고객들을 보호하기 위해 우리 사이트에서 신뢰성과 안전성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을 최우선시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영국 BBC방송은 중국 당국의 인터넷 감시와 관련, 200만 명의 감시요원이 정부 고용 아래 활동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BBC는 관영 북경일보(北京日報)를 인용, 이들 사이버 감시요원이 인터넷 게시글을 삭제할 권한은 없지만 웨이보 등 마이크로블로그를 실시간으로 모니터하면서 여론을 분석하고 해당 내용을 윗선에 보고한다고 전했다.
중국 정부는 또한 10월 14∼18일 이들 감시요원을 대상으로 훈련을 진행할 계획이며 이런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라고 BBC는 덧붙였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