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입장하는 박 대통령 (서울=연합뉴스) 이정훈 기자 = 박근혜 대통령이 6일 오전 청와대 춘추관 브리핑룸에서 대국민 담화를 발표하기 위해 입장하고 있다. |
朴대통령, 대학구조개혁에 힘실어…이공계 정원 늘어날 듯
"수능 난이도 안정화" 강조…쉬운 기조 유지될 듯
(세종=연합뉴스) 노재현 기자 = 산업수요에 맞춘 대학의 구조개혁이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박근혜 대통령이 6일 청와대 춘추관에서 발표한 '경제 재도약을 위해 국민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에서 대학구조개혁에 대한 의지를 드러냈기 때문이다.
박 대통령은 교육개혁과 관련해 "대학도 사회의 수요에 맞는 인재를 양성할 수 있도록 사회수요를 반영한 학과와 교육과정의 확산을 지원하면서 구조개혁을 강력히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이런 발언은 현재 대학이 배출하는 인재와 산업 수요의 '미스매치'(불일치) 해소를 염두에 둔 표현으로 읽힌다.
학령인구가 감소하는 상황에서 정보기술(IT) 분야 등 산업현장에서 부족한 인재를 충분히 양성하겠다는 취지로 해석된다.
정부가 지난달 27일 발표한 '청년 고용절벽 해소 종합대책'에서 산업수요에 맞게 구조개편을 하는 우수대학에 재정적 인센티브를 집중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발표한 것과 일맥상통한다.
기존 학과의 통폐합, 학부 및 단과대 신설 등으로 학사구조를 개편하고 정원조정을 선도하는 대학에 평균 50억∼200억원, 최대 300억원이 지원된다.
또 정부는 학과 개편, 정원 조정을 돕기 위해 세부전공별 중장기(5·10년) 인력수급 전망을 10월 말까지 대학에 제시할 계획이다.
정부의 구상대로 대학의 구조개혁이 진행되면 대학 정원에서 이공계는 증가하고 인문계는 줄어들 공산이 크다.
이런 점에서 앞으로 대학에서 인문학이 위축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적지 않게 나오고 있다.
또 박 대통령은 이번 담화에서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을 어렵게 내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박 대통령은 "학생들의 학업부담이 가중되고 학교교육이 왜곡되지 않도록 초·중·고 시험에서 선행출제를 하는 관행을 끊고 수능 난이도를 안정화해서 공교육 정상화의 토대를 쌓겠다"고 강조했다.
여기에서 '수능 난이도의 안정화'는 지난해 수능과 올해 6월 모의평가에서 이어진 쉬운 기조를 이어가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교육부도 그동안 수능에서 교육과정에 충실한 학생이 풀수 있는 문제를 출제하겠다는 입장을 보여왔다.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도 지난 4일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수능 난이도와 관련해 "교육부는 (수능 출제진에게) 올해 어려운 문제 몇 개를 내라는 주문을 하지 않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