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러시아, 상륙함 공급계약 파기 배상 합의 발표(종합2보)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8-06 16:52:30
  • -
  • +
  • 인쇄
엘리제궁 "러시아에 충분히 배상"…크렘린궁 "문제 종결됐다"
우크라 사태 관련 대러 제재 일환…캐나다·싱가포르·이집트 구매 거론


프랑스-러시아, 상륙함 공급계약 파기 배상 합의 발표(종합2보)

엘리제궁 "러시아에 충분히 배상"…크렘린궁 "문제 종결됐다"

우크라 사태 관련 대러 제재 일환…캐나다·싱가포르·이집트 구매 거론



(모스크바·파리=연합뉴스) 유철종 박성진 특파원 = 러시아와 프랑스가 1년 가까이 이어진 상륙함 공급 계약 파기 문제에 종지부를 찍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프랑수와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은 5일 전화통화를 통해 프랑스가 러시아에 2척의 미스트랄급 상륙함을 공급하기로 한 계약을 파기하고 러시아 측에 피해 배상을 하는 것으로 사건을 종결짓기로 최종 합의했다고 크렘린궁과 엘리제궁이 각각 밝혔다.

크렘린궁은 이날 언론 보도문에서 "우호적 분위기에서 진행된 (양국) 전문가들의 협상에서 계약에 따라 지불된 선금을 러시아에 돌려주고 이미 전달된 러시아 장비와 원자재 등도 반환하기로 하는 합의에 이르렀다"고 설명했다.

크렘린궁은 이어 "프랑스는 이미 선금을 돌려줬으며 러시아제 장비 반환이 끝나면 상륙함을 처분할 권리를 얻게 될 것"이라며 "모스크바는 미스트랄 문제가 완전히 해결된 것으로 생각한다"고 소개했다.

프랑스 대통령실도 이날 성명을 내고 프랑스가 우크라이나 사태를 이유로 러시아에 상륙함을 공급하기로 한 계약을 파기한 데 대해 러시아에 배상하기로 합의했다고 발표했다.

대통령실은 러시아가 충분한 배상을 받을 것이라고 밝히고 상륙함에 장착된 러시아의 군사장비도 모두 떼어내 돌려줄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동안 상륙함 계약 파기 협상의 최대 걸림돌이었던 배상금 규모와 관련 러시아는 최종적으로 11억 유로 이상을 받았다고 러시아 일간 코메르산트가 6일 보도했다. 신문은 자체 소식통을 인용해 배상금이 이미 비밀리에 러시아 은행 계좌로 송금됐다고 전했다.

이는 러시아가 건조 착수금 조로 미리 지불한 선금(8억9천300만 유로) 외에 상륙함 계약에 따라 발생한 부대 비용까지를 모두 합친 것으로 사실상 러시아 측의 요구를 그대로 수용한 것으로 해석된다.

프랑스는 상륙함에 장착된 러시아제 통신 장비 등에 대한 해체·반환 작업이 모두 끝나면 상륙함에 대한 완전한 소유권을 확보하게 돼 제3국에 수출할 수 있는 권리를 얻게 된다.

러시아군 소식통은 앞서 4일 자국 타스 통신에 러시아 전문가 그룹이 9월 중 프랑스를 방문해 상륙함에 장착된 통신 장비를 해체해 되찾아 올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장 이브 르 드리앙 프랑스 국방장관은 이날 현지 RTL 라디오와 인터뷰에서 "배상금액은 12억 유로에 못 미친다"면서도 정확한 금액을 밝히지는 않았다.

르 드리앙 장관은 "이미 여러 나라가 상륙함 구매에 관심을 보였다"면서 "계약이 파기됐으므로 이제 이들 국가와 대화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캐나다와 싱가포르, 최근 프랑스 라팔 전투기와 구축함을 구입한 이집트가 미스트랄급 상륙함을 살 국가로 거론되고 있다.

프랑스는 지난 2010년 12억 유로에 헬기 16대를 탑재할 수 미스트랄급 상륙함 2척을 러시아에 수출하는 계약을 체결하고 지난해와 올해 각각 1척씩 인도할 예정이었다.

그러나 지난해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사태에 개입한 데 대해 서방이 제재를 가하면서 프랑스는 그해 11월 인도 예정이던 첫 번째 상륙함을 러시아에 건네지 않았다.

두 번째 상륙함도 올해 인도될 예정이었으나 역시 인도 절차가 중단됐으며 결국 최종적으로 계약 파기에 이르렀다.

올랑드 프랑스 대통령은 최근 계약을 파기할지 몇 주일 안에 결정하겠다고 말한 바 있다.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지난 4월 "계약을 파기하려면 프랑스는 모든 비용을 배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프랑스와 러시아는 계약 파기와 관련한 배상금액 등을 놓고 지난 8개월간 줄다리기 협상을 벌여왔다. 프랑스는 선금만 돌려주겠다는 입장이었던 반면 러시아는 상륙함 계약에 따라 발생한 400명의 승조원 훈련비, 자국 내 상륙함 주둔 기지 건설비, 선상 헬기 개발비 등을 모두 배상해야 한다는 주장을 폈기 때문이다.

협상은 결국 프랑스가 러시아 측의 요구를 거의 그대로 수용하는 것으로 마무리된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