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체부 "2020년까지 이야기산업 5조원 달성 목표"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8-07 11:30:01
  • -
  • +
  • 인쇄
"이야기 창작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설익은 구상" 우려도
△ '2015년 제8차 사회관계장관회의 (서울=연합뉴스) 황우여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이 7일 정부세종청사에서 '2015년 제8차 사회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교육부 제공 )

문체부 "2020년까지 이야기산업 5조원 달성 목표"

"이야기 창작 전주기 지원체계 구축"…"설익은 구상" 우려도



(서울=연합뉴스) 김중배 기자 = 정부가 오는 2020년까지 이야기산업 규모 5조원 달성을 목표로 하는 중장기 계획안을 내놓았다.

문화체육관광부는 7일 사회관계장관회의를 통해 이야기 창작 전주기에 대한 지원체계 구축을 통해 자생적 이야기 창작 환경 조성을 주요 목표로 하는 '이야기산업 육성 추진 5개년 계획(2016~2020)'을 발표했다.

이야기 전반에 대한 산업적 접근은 주로 '원소스멀티유즈'(OSMU) 현상의 확산에 기인했다고 할 수 있다. 이는 하나의 이야기가 산업적 기반을 키워온 웹툰과 영화, 드라마 산업 등에 중첩적으로 활용되며 화려한 상업적 성공을 거두자 역으로 원작인 이야기 자체에 대한 산업적 관심을 높인 데 따른 것이다. 영국 작가 조앤 롤링의 '해리 포터' 시리즈가 대표적이다.

현재 1조5천억원 수준으로 추산되는 국내 이야기산업 규모를 2020년까지 5조원으로 키우겠다는 목표 하에 마련된 계획의 골자는 전국적인 이야기 원천소재 통합 시스템의 구축과 연례행사인 '스토리공모대전'의 확대 개최로 요약된다.

문체부는 원천소재 통합 검색이 가능한 '컬처링' 사이트(www.culturing.kr)의 연계 기관을 현행 7개에서 국가기록유산, 문화유산채널 등을 포함한 20개로 확대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접근 가능한 원천소재는 137만건에서 250만건까지 늘어난다.

스토리공모대전은 지역 예선을 포함한 형태로 확대해 추진하며, 미국 영화계의 '시나리오 닥터링' 제도에서 착안해 전문가의 이야기 창작 컨설팅과 각색 지원을 내용으로 하는 '이야기 닥터링' 지원체계도 마련한다.

문체부는 이외에도 유통 플랫폼 구축과 창작자 권리 보호를 위한 이야기 전문기업 발굴과 육성안을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그러나 이 같은 문체부 계획에 대해 아직 산업의 개념 정의마저 관련 분야 내에서 공유되지 않는 단계여서 그 취지에 맞춰 정책의 실효성을 기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는 우려도 제기된다.

정책적으로 개념화 단계인 이야기 산업은 전설과 설화, 소설 등 순수창작물과 만화와 웹툰, 영화 등의 원작에 해당하는 콘텐츠물, 관광지나 상품 등에 얽힌 이야기 등 세 가지 분야로 구성된다는 설명이다.

문체부는 한류 3.0의 지속적 확산과 미래 먹거리로서 콘텐츠 산업의 중흥을 위해 지난 2013년부터 이야기 산업 전반에 대한 체계적 지원을 위한 정책 구상과 준비 작업을 진행해왔다.

문체부는 산업진흥 계획 수립 및 정책 지원 근거를 담은 새누리당 강은희 의원 대표 발의의 이야기산업진흥법을 연내에 입법화하겠다는 입장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