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의 기적' 경제개발 5개년 계획 한눈에 본다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8-10 12:00:16
  • -
  • +
  • 인쇄
△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서울=연합뉴스) 국가기록원이 10일 공개한 '제1차 경제개발 5개년 계획(1962~1966)'.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은 광복 70년을 맞아 1950년∼1990년대 경제개발계획을 담은 '기록으로 보는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자료를 오는 11일부터 국가기록원 누리집에서 공개한다고 10일 밝혔다. (국가기록원 제공)

'한강의 기적' 경제개발 5개년 계획 한눈에 본다



(서울=연합뉴스) 이정현 기자 = 세계 최빈국을 반세기 만에 국민총생산 세계 13위의 경제강국으로 만든 '한강의 기적', 우리나라 경제발전사를 한눈에 보여주는 기록 자료가 개발됐다.

행정자치부 국가기록원은 광복 70주년을 맞아 1950년∼1990년대 경제개발계획을 담은 '기록으로 보는 경제개발 5개년 계획' 자료를 11일부터 국가기록원 누리집(www.archives.go.kr)에서 공개한다고 10일 밝혔다.

광복 이후부터 1990년대까지 우리나라 경제성장의 실상을 한 눈에 볼 수 있도록 시기별 연표, 주요 통계, 차수별 비교표를 곁들였다.

특히 경제개발계획의 추진성과를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국제원조, 수출증대, 산업발전, 국토건설, 저축장려 등 5개 주제를 주요 이슈로 선정해 주요 내용과 함께 관련 기록을 연계해 서비스한다.

단계별로 제1차 계획(1962∼1966년)은 '자립경제 달성을 위한 기반 구축'을 목표로 기간산업 확충과 사회간접자본 충족, 수출 증대, 기술 진흥, 국토 보전과 개발 등 계획을 담고 있다.

2차 계획(1967∼1971년)은 '산업구조의 근대화, 자립경제 확립 촉진'을 목표로 화학과 철강, 기계공업 건설, 식량 자급, 과학과 경영기술 진흥을 계획했다.

3차 계획(1972∼1976년)은 '성장, 안정, 균형의 조화'를 추구하면서 산업구조의 고도화, 국제수지 개선, 지역개발을 목표로 했다.

이후 4차 계획(1977∼1981년)은 '성장·형평·능률', 5차 계획(1982∼1986년)은 '안정·능률·균형', 6차 계획(1987∼1991년)은 '능률과 형평을 토대로 한 경제선진화와 국민복지 증진', 7차 계획(1992∼1996년)은 '21세기 경제사회의 선진화와 민족통일 지향'을 목표로 작성됐다.

신경제 5개년 계획(1993∼1997년)은 '선진 경제권 진입과 통일에 대비한 튼튼한 경제건설'을 목표로 했다.

이러한 계획과 국민의 단결된 노력 아래 1962년 1명당 91달러이던 국민소득은 지난해 2만 8천180달러로 300배 이상 늘었다.

국가기록원은 "우리나라가 가난의 굴레를 벗어나 비약적인 경제 성장을 이룩하는 데 크게 기여한 경제개발계획 관련 기록을 통해 광복 70주년의 의미를 짚어보는 계기가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