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죄' 빠진 아베 담화 초안…우경화 '마이웨이' 예고하나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8-09 21:23:55
  • -
  • +
  • 인쇄

'사죄' 빠진 아베 담화 초안…우경화 '마이웨이' 예고하나



(서울=연합뉴스) 권수현 기자 =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의 전후 70년 담화(아베 담화) 초안에 '사죄' 문구가 빠지면서 아베 정권의 우경화 가속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일본 아사히신문은 아베 총리가 지난 7일 연립여당 간부들에게 보여준 담화 초안에 '사죄' 관련 문구는 물론 유사한 표현도 포함되지 않았다고 9일 보도했다.

초안에는 과거 전쟁에 대한 '반성' 표현은 들어 있었지만, 일본의 전쟁 당시 행위가 '식민지 지배와 침략'이었다는 점도 명확히 판단하지 않았다고 아사히는 전했다.

이는 한국과 중국 등 주변국은 물론 '사죄' 표현이 들어가야 한다고 주장한 일본 연립여당인 공명당 등 정부 내부의 의견마저 거스르는 것이어서 아베 총리가 우경화 '마이웨이'를 고수하려는 의도가 뚜렷한 것으로 보인다.

야마구치 나쓰오(山口那津男) 공명당 대표는 앞서 지난 7일 아베 총리와 만난 자리에서 "중국, 한국과의 관계개선에 이바지하는 표현이면 좋겠다"고 말한 것으로알려졌다.

그는 과거 전쟁에 대한 '사죄'와 '식민지 지배', '침략' 등 무라야마 담화의 핵심 문구를 아베 담화에도 넣으라고 요구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일본 내 최대 보수지로 친(親) 아베 성향으로 분류되는 요미우리(讀賣) 신문도 사설을 통해 아베 담화에 사죄 표현이 들어가야 한다고 촉구했다.

요미우리는 "간접적인 표현으로라도 '침략'과 '식민지 지배'에 대한 진심 어린 사죄의 마음이 전해지는 말이 들어가야 하며, 아니면 전쟁 피해자의 마음에 울리는 총리 자신의 사죄의 말을 표명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아베 총리가 공명당 등 정부 내부와 보수층의 요구를 얼마나 반영해 최종 담화를 내놓을지는 미지수다.

다만 아베 총리가 공명당 소속 각료가 포함된 각의(국무회의)의 만장일치 결정을 거쳐 담화를 발표하기로 한 만큼 공명당의 의견을 무시할 수 없다는 점이 변수다.

최근 집단 자위권 법안을 둘러싼 여론 악화로 내각 지지율이 하락하는 상황도 아베 총리에는 부담이다.

전후 50년 담화인 무라야마(村山) 담화와 전후 60년 담화인 고이즈미(小泉) 담화에 포함된 '사죄' 문구가 빠진 상태 그대로 아베 담화가 확정될 경우 주변국들과의 관계는 더 얼어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 정부도 아베 정권에 대해 군위안부 동원의 강제성을 인정한 고노 담화 등 역대 내각의 역사인식을 확실한 표현으로 계승할 것을 촉구해 온 만큼, 아베 담화에 '사죄'가 최종적으로 빠지면 한일관계 진전에 큰 걸림돌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여야는 대변인 구두논평을 통해 아베 담화 초안에 '사죄' 표현이 빠진 데에 한목소리로 비판했다.

새누리당은 "광복 70주년 담화문에서 아베 총리가 또다시 과거 침략사를 사죄하지 않고 외면한다면 일본은 국제사회의 신뢰와 기대를 저버리게 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새정치민주연합도 "광복 70주년인 올해마저도 그런 역사적인 사죄와 반성이 없다는 것은 일본이 한일관계에 있어서 전혀 미래지향적 발전을 하겠다는 의지를 보이지 않는 것"이라며 "상징적 의미를 가진 해에 최소한의 사과와 반성도 하지 않겠다는 것은 매우 유감스럽다"고 말했다.

앞서 중국 외교부도 지난 7일 아베 담화 관련 총리 자문기구가 보고서에 사죄를 거론하지 않은 것과 관련 "일본이 군국주의 전쟁을 직시하고 반성해야 하며 특히 전쟁의 성격과 책임 문제에서 명확하고 정확한 메시지를 전달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