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히로시마 원폭 70주년 추도사 낭독하는 아베 (히로시마 AP=연합뉴스) 6일(현지시간) 일본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에서 열린 히로시마 원폭 투하 70주년 추도식에서 아베 신조 일본 총리가 추도사를 낭독하고 있다. lkm@yna.co.kr Japanese Prime Minister Shinzo Abe delivers his speech during the the 70th anniversary of the atomic bombing of Hiroshima, at the Hiroshima Peace Memorial Park in Hiroshima, western Japan Thursday, Aug. 6, 2015. The anniversary comes as Japan is divided over Abe's push to pass unpopular legislation to expand the country's military role internationally. (Kyodo News via AP) JAPAN OUT, MANDATORY CREDIT |
교도 "아베담화 '침략' 넣되 '일본의 침략'으로 안쓸듯"(종합)
과거사 반성 '진정성' 논란예상…"사죄 포함 여부는 최종 조율중"
(도쿄=연합뉴스) 조준형 특파원 =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는 14일 발표할 전후 70년 담화(아베 담화)에 '침략'이라는 문구를 포함할 의향을 굳혔다고 교도통신이 10일 복수의 일본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보도했다.
하지만 담화에서 거론할 '침략'이 '일본의 침략 행위'를 의미하는 문맥은 아닐 공산이 큰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예상된다.
교도에 따르면, 아베 총리는 올해 4월 아시아·아프리카 회의(반둥회의) 60주년 기념 정상회의에서 했던 자신의 연설을 참고해 '침략'을 언급하는 방향으로 담화 문안을 조정 중이다.
당시 아베는 1955년의 반둥회의에서 확인된 10원칙 가운데 '침략, 무력행사에 의해 타국의 영토 보전과 정치적 독립을 침해하지 않는다', '국제분쟁은 평화적 수단으로 해결한다'는 두 원칙을 강조한 후 "일본은 이 원칙을 과거 전쟁에 대한 깊은 반성과 함께 어떤 때라도 지켜나가는 국가일 것을 맹세했다"고만 언급했다. 이는 결국 '침략'이라는 문구가 담화에 들어가더라도 '일본이 과거에 침략을 했다'고 인정하는 취지는 아닐 것이라는 말이 된다.
보도대로 아베 담화가 나올 경우 일본의 과거 행위를 명확하게 '침략'으로 규정한 무라야마(村山) 담화(전후 50년 담화)와 고이즈미(小泉) 담화(전후 60년 담화)에 비해 모호하다는 비판을 받을 전망이다. 아베 담화에 들어갈 것이 확실한 '통절한 반성'의 진정성 논란도 불가피해 보인다.
더불어 아베 담화는 2차 대전에 이르기까지의 역사적 경위를 담게 될 것이라고 교도는 전했다.
1차 대전 후 '분쟁을 평화적 수단으로 해결한다'고 규정한 파리 부전(不戰) 조약, 1929년 대공황 등 국제정세와 1931년 일본이 일으킨 만주사변, 1936년 일본 청년 장교들의 군사 반란이었던 2·26 사건 등이 열거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교도는 소개했다. 이로써 담화의 분량은 무라야마담화에 비해 크게 늘어날 전망이다.
또 담화에 사죄 표명 문구를 넣을지에 대해서는 최종적인 조율이 진행되고 있다고 교도는 소개했다.
아베 총리는 14일 각의(국무회의)를 거쳐 담화를 발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