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형 사죄' 아베담화에 시민단체 "실망·분노·좌절"(종합2보)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8-14 23:11:00
  • -
  • +
  • 인쇄
정대협 "위안부 피해자 절규 외면 日은 한 걸음도 미래로 나아가지 못했다"

'과거형 사죄' 아베담화에 시민단체 "실망·분노·좌절"(종합2보)

정대협 "위안부 피해자 절규 외면 日은 한 걸음도 미래로 나아가지 못했다"



(전국종합=연합뉴스)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가 '과거형 사죄' 등을 담은 전후 70년 담화를 14일 내놓은 데 대해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 등 일제 강제동원 관련 시민단체들이 반발하고 나섰다.

단체들은 특히 아베 총리가 다음 세대에 사죄를 계속해야 하는 숙명을 짊어지게 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 것을 강하게 비판했다.

정대협은 이날 발표한 '아베 담화에 대한 입장'에서 이번 담화를 반성과 거리가 먼 자기합리화라고 규정했다.

'과거형 사과'와 책임회피, 전쟁범죄에 대한 변명으로 일관해 전후 50년·60년에 나온 무라야마 담화와 고이즈미 담화를 답습이라도 하리라는 기대마저 무너졌다는 것이다.

정대협은 "일본군이 조직적으로 행한 성노예제 범죄인 일본군 위안부 문제에 대한 명확한 기술마저 찾아볼 수 없다"면서 "위안부 피해자들의 절규를 외면한 일본 정부는 단 한 걸음도 미래로 나아가지 못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평화와 협력의 시대를 염원해온 아시아 각국에게 일본 정부는 다시 한 번 실망을, 분노를, 좌절을 안겼다"라며 "전쟁 범죄를 미화하고 역사를 부정하면서 동시에 전쟁과 식민지배에 안녕을 고하겠다는 어불성설 담화는 망발에 불과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문숙(88) 한국정신대문제대책부산협의회 회장은 아베 총리의 담화문을 접한 뒤 "일본 정부가 이렇게 전쟁과 침략의 책임을 노골적으로 회피할 줄은 몰랐다"고 분노했다.

김 회장은 "이번에는 일본 정부의 진심어린 사죄를 받을 수 있을 거라는 심정으로 한해 한해를 기다려왔는데 일본은 그럴 마음이 전혀 없는 것 같다"며 "일본 정부는 오히려 군국주의로 회귀해 다시 전쟁을 일으킬 마음이 있는데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변국이 적극적으로 견제해야 한다"고 말했다.

경기도 광주에 있는 위안부 피해자 쉼터 '나눔의 집' 안신권 소장은 "위안부 언급이 없이 '전쟁 중 존엄에 상처받은 여성이 있었다'는 식의 막연한 표현으로 우리와 국제사회를 기만했다"며 "진정으로 사죄할 의지가 없어보인다"고 비판했다.

나눔의 집에서 아베 총리 담화를 TV로 지켜본 강일출(87) 할머니는 "피해자가 이렇게 살아 있는데 전쟁을 일으킨 놈들이 피해자 문제는 언급도 안 했다"며 울분을 토했다.

양순임 태평양전쟁희생자유족회장도 "무라야마 담화를 유지하지는 못할망정 자신은 사죄하지 않고 과거형으로 '사죄해왔다'고 표현할 것이라면 애초에 담화를 할 이유조차 없다"는 평가를 내렸다.

양 회장은 "후손들은 사죄할 필요가 없다는 말은 후손들은 전쟁을 다시 일으켜도 된다는 뜻이나 다름없다"면서 최근 집단자위권 법안 처리를 추진해온 것을 언급하며 "아베가 일본 국민을 전쟁광으로 만들고 있는 셈"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전쟁 세대들도 제대로 사죄하지 않았으면서 후손에게 사죄할 책임을 지우지 않겠다는 것은 말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주성 일제강제동원희생자 유가족협동조합 대표는 "과거형으로 이뤄진 이번 아베 담화는 편법이며 사죄라고 할 수도 없다"고 잘라 말했다.

식민지배와 침략, 강제동원과 위안부 동원 등 사실을 인정하고 사죄한다는 한마디만 하면 해결될 일인데 이를 꺼려 마지못해 담화를 발표한 것으로 보인다는 것이다.

미래 세대에 사죄 책임을 지워선 안 된다고 말한 데 대해서도 "무라야마 도미이치 전 총리처럼 아베 총리 스스로가 사죄를 하면 매듭이 지어질 일"이라며 "이렇게 해서는 미래 세대가 새롭게 한일 관계의 장을 열수가 없다"고 지적했다.

이어 일본이 과거사 문제에 미온적으로 나오는데도 적극적인 외교적 태도를 취하지 못하는 한국 정부도 문제가 있다고 비판했다.

(이우성 김선호 권영전 채새롬)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