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포> "비바 쿠바" 반세기만 美성조기 게양하자 쿠바 국민들 탄성(종합)

편집부 / 기사승인 : 2015-08-15 02:22:50
  • -
  • +
  • 인쇄
1961년 성조기 하강했던 70대 노병 3명 참석해 다시 게양식
美대사관 주변 구름인파 운집…케리 "쿠바, 진정한 민주주의 확신"


<르포> "비바 쿠바" 반세기만 美성조기 게양하자 쿠바 국민들 탄성(종합)

1961년 성조기 하강했던 70대 노병 3명 참석해 다시 게양식

美대사관 주변 구름인파 운집…케리 "쿠바, 진정한 민주주의 확신"



(아바나<쿠바>=연합뉴스) 노효동 특파원 = "비바 쿠바"·"브라보"."유 에스 에이" 기쁨과 환희, 감동의 탄성이 카리브 해에 크게 울려 퍼졌다.

54년 7개월 11일 만에 미국의 국기인 성조기가 말레콘 방파제 위로 다시 내걸린 순간이었다. 14일(현지시간) 오전 아바나 주재 미국 대사관 주변에 몰려든 1천여 명의 쿠바 국민들은 일제히 큰 목소리로 반세기의 '역사적 화해'에 환호했다.





한국 언론으로는 유일하게 현장에서 직접 취재한 성조기 게양 장면은 가장 실감 나는 '하나의 드라마'였다.

39도가 넘는 찜통더위 속에서 참석자들은 연방 부채질을 하거나 양산을 쓰고 있었지만, 성조기 게양 행사가 시작되자 돌연 엄숙한 분위기로 바뀌었다.

500여 명의 참석자가 일제히 기립한 가운데 성조기가 다시 깃대를 타고 올라가는 순간은 그야말로 시간이 멈춘 듯했다.

1961년 1월3일 양국이 외교관계를 단절한 바로 다음날 성조기를 내려야 했던 70대 노(老) 해병 세 명에게는 더욱 그랬다.

당시 그대로 검정 해병대 제복을 입은 이들 세 명은 반세기 만에 돌아온 같은 자리에 서서 현역 해병들에게 새로운 성조기를 건네 대신 달도록 했다. 짐 트레이시(78) 당시 미 해병대 원사는 "평생 잊지 못할 순간"이라며 감격스런 표정을 지었다.

10m 높이의 깃대 위로 성조기는 마치 하늘을 향해 솟아오르듯 쑥쑥 올라갔고, 양국 정부 대표단은 이를 숨죽인 채 지켜봤다.

성조기가 깃대 꼭대기에 올라서 멈추자 대사관 주변 말레콘 방파제와 거리에서 이를 지켜보던 쿠바 국민들은 우뢰와 같은 박수 속에서 "비바" "브라보"를 외치거나 쿠바 국기를 흔들었다.

일부 국민은 대형 쿠바 국기가 걸린 아파트 옥상이나 건물 베란다로 나와 탄성을 질렀다.



이날 행사를 지켜보고자 미국 플로리다 주 마이애미에서 날아왔다는 악사라(63)씨는 "내 평생에 이런 날이 오기를 꼭 기다렸다"며 춤을 추었다. 악사라는 쿠바 혁명후 9살 때 부모와 함께 카리브 해를 건너왔다.

가족과 함께 방파제로 나온 훌리아(58)씨는 "이 순간을 너무 고대해왔다"며 "쿠바와 쿠바 인민들에게 번영된 미래를 향한 신기원이 될 것"이라고 말했고, 라겔(49)씨는 "두 나라에게 서로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기뻐했다.

대사관 바로 맞은 편인 '반제국주의 광장'에도 수많은 인파가 모여 이번 행사를 축하했다. 냉전시대의 적대적 관계를 상징하는 대사관과 반제국주의 광장 사이의 '깃발의 벽'은 이날을 계기로 무너진 느낌이었다. 깃발의 벽은 미국이 2006년 전자광고판을 이용한 정치 선전에 나서자 쿠바 정부가 바로 다음 달인 2월 제국주의 확산을 막고자 깃대 138개를 올려 정치 선전을 막은 도구다.

이날 사회를 맡은 쿠바 주재 미국 대사대리인 제프리 드로렌티스는 "아바나와 워싱턴은 길고 복잡한 여정을 걸어왔다"며 "그러나 이것은 옳은 길이었다"고 평가했다.

이어 축사에 나선 쿠바계 미국 시인인 리차드 블랑코는 축시에서 "바다(미국과 쿠바 사이의 바다)는 우리에게 문제가 아니다"며 "중요한 것은 우리가 모두 바다에 속해있다는 것"이라고 표현했다.



쿠바 국민들의 이 같은 축제 분위기 속에서 쿠바 카스트로 정권에 반대해온 반체제 인사와 인권운동가들의 목소리는 들리지 않는 듯했다. 그러나 초청받지 못한 이들의 존재는 앞으로 미국과 쿠바가 풀어야 할 '정상화의 그늘'인 것만은 분명하다.

존 케리 국무장관은 이날 대학생 시절이었던 1962년의 '쿠바 미사일 위기' 때를 회고하면서 "양국의 지도자가 역사의 포로가 되어서는 안 되며 미래의 기회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는 용기있는 결단을 내렸기 때문에 이번 일이 가능했다"며 "우리는 약속을 했고, 그것을 지켜냈다"고 강조했다.



케리 장관은 그러나 "우리가 과거는 잊거나 잊어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다"라며 "미국은 쿠바의 민주주의 원칙들과 개혁들의 옹호자로 남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미국은 쿠바 국민이 지도자들을 자유롭게 선출하고, 사상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자신의 신념을 실행하고, 경제적·사회적 정의가 보다 완벽하게 실현되고, 시민사회가 독립적이고 번창할 수 있는, 진정한 민주주의를 최대한 누릴 것으로 확신한다"고 말했다.

케리 장관은 국교정상화 후속조치에 결정적 역할을 맡고 있는 의회를 겨냥하기도 했다. 케리 장관은 "오바마 행정부의 새로운 대 쿠바 정책에도 불구하고 쿠바에 대한 금수조치가 여전히 남아있다"며 "의회의 행동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미국 정부 대표단에 속했던 패트릭 리히(민주·버몬트) 상원의원은 "매우 감동적이었다"고 말했다.



성조기가 다시 올라간 깃대 뒤로는 말레콘 방파제를 배경으로 검은 색과 빨간 색, 푸른 색 '올드모빌' 3대가 이번 행사를 축하라도 하듯 멋진 맵시를 뽐냈다.

성조기 게양 행사장에는 연합뉴스를 포함한 전 세계 각국의 주요 언론사 기자 50여 명이 입장해 역사적인 장면을 취재했다. 특히 일본 언론의 관심이 컸고 최근 쿠바에 대한 진출을 확대하고 있는 중국 언론도 많은 관심을 기울였다.

멕시코에서 온 원로언론인인 블랑카 페트릭(60)는 "냉전이 종식되고 새로운 협력시대가 열리는 가장 감동적인 순간"이라고 평가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