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가로수길을 달리는 시내버스.<<청주시 제공>> |
[청주=부자동네타임즈 강영옥 기자] 청주시의 '시내버스 준공영제' 도입 준비가 순조롭게 추진되고 있다.
시는 지난 3월 6개 시내버스 업체와 맺은 준공영제 도입 추진 협약의 후속 조처로 표준운송원가 산정, 버스관리시스템(BMS) 구축, 민·관·정 협의체 구성 등을 추진 중이다.
17일 시에 따르면 준공영제 도입 후 수입금 배분 등 재정 지원의 근간이 될 표준운송원가 산정 용역을 지난 3월 발주했다.
현재 버스업계의 수입과 각종 지출 관련 자료 수집과 원가 분석 등이 이뤄지고 있다. 용역 보고서는 오는 11월에 나온다.
시내버스 위치 정보와 운행 이력 등을 통합 관리할 BMS 구축 사업은 예산 확보를 위한 용역과제 심의 등 절차가 마무리됐다.
시는 또 이달 말 버스업계, 각계 전문가, 시민대표, 시의원 등이 참여하는 '준공영제 추진협의회'를 발족할 계획이다. 이 기구는 준공영제 관련 주요 사항을 논의해 결정한다.
시는 시민 중심의 노선체계 구축, 운행 시간 준수, 난폭운전 근절 등을 위해 준비 과정을 거쳐 내년 7월 1일부터 시내버스 준공영제를 시행하기로 한 바 있다.
이 제도 도입의 필요성은 민선 5기 때부터 제기돼 왔다.
시내버스 노선이 이용객이 많은 사직로와 상당로에 치우친 탓에 주민들이 골고루 대중교통 혜택을 누릴 수 없었기 때문이다.
준공영제가 시행되면 비수익 노선에도 이용객 수에 상관없이 시내버스가 다닌다.
일반적으로 준공영제란 버스회사들의 모든 수입금을 공동관리위원회가 관리하면서 적자가 나면 해당 지방자치단체가 보충해 주고, 흑자가 나면 시내버스 관련 인프라 확충에 재투자하는 제도다.
시 관계자는 "공공성과 책임성 등을 강화하는 시스템이어서 준공영제가 시행되면 서비스의 질이 향상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