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미국 정부가 이란의 탄도미사일 개발에 관여한 기업과 개인을 대상으로 새로운 제재를 검토 중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복수의 미국 정부 관계자를 인용해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WSJ에 따르면 제재 대상은 이란, 홍콩, 아랍에미리트(UAE)의 기업·개인 10여 곳이다. 이들은 미국으로부터 이란이 추진하는 탄도미사일 개발 프로그램에 가담했다는 의혹을 사고 있다.
제재가 실제로 가해진다면 미국 재무부는 미사일 개발에 관여한 기업·개인과의 거래를 금지하거나 자산을 동결하는 등의 방식을 선택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이는 지난 7월 이란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독일이 체결한 이란 핵 합의안 체결 후 실시되는 첫 대(對)이란 제재가 될 전망이다.
미국 정부 관계자에 따르면 이란은 핵합의 타결 이후에도 10월과 11월 두 차례나 핵탄두 탑재가 가능한 미사일 시험 발사를 실시한 바 있어 미국 의회에선 이란에 대한 추가 제재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유엔 또한 이달 15일 보고서를 통해 이란이 10월 발사한 '에마드' 로켓은 안보리 결의 1929호 위반이라고 규정했다. 미국 정부는 이란에 일방적 제재를 가할 수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WSJ는 제재 대상에 이란 국방부 관계자들과 UAE의 기업과 홍콩 사업가 등이 포함돼 있다고 전했다. 이들은 이란 측에 탄소섬유 취득을 도와줬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한편 새 경제 제재 대상엔 이란과 북한의 미사일 개발 협력 의혹 또한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WSJ는 이란이 북한의 국영기업으로부터 미사일에 필요한 부품을 구매한 데다가 지난 2년간 탄도미사일 개발 기술자들을 북한 측에 제공했다고 전했다.미국 오바마 행정부가 이란의 탄도미사일 개발에 관여한 혐의를 받고 있는 이란, 홍콩, 아랍에미리트(UAE) 개인·기업 등 10여곳을 대상으로 새 경제제재를 가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30일(현지시간) 보도했다. 2015.12.31 ⓒ게티이미지/멀티비츠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