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5자회담 발언은 6자회담 완전 무시 아냐, 그 틀 안"

박윤수 기자 / 기사승인 : 2016-01-25 09:59:54
  • -
  • +
  • 인쇄
대통령 발언, '6자 회담 무용론' 확대해석 차단
'사전 조율 無'…美·中 엇갈리는 반응에 당혹
△ <사진출처=청와대>

 

[부자동네타임즈 박윤수 기자] 청와대는 25일 최근 박근혜 대통령의 '5자 회담' 발언에 대해 "6자회담 틀 내에서 5자회담을 포함한 다양한 방안을 추진해보자는 의미"라면서 '6자 회담 무용론'이 아님을 강조했다.

정연국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오전 춘추관 정례브리핑에서 "6자회담이 사실상 그동안 제대로 안됐으니 의지를 갖고 (북한을 제외한) 5개 국가만이라도 논의를 해보고 방안을 찾아보자는 의도"라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어 정 대변인은 "6자회담을 완전히 무시한 것이 아니라 6자회담 틀 내에서 하자는 것"이라고 명확히 밝혔다.

박 대통령은 지난 22일 외교‧국방‧통일 3개 부처 합동 업무보고 당시 "정책의 실효성을 높여나가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면서 "6자회담만이 아니라 북한을 제외한 5자회담을 시도하는 등 다양하고 창의적인 접근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에 주한 미국대사관은 23일 성명을 내고 "박근혜 대통령의 5자회담 제안을 지지한다. 관계국 간 긴밀한 협조를 통한 협상이 한반도 비핵화 노력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믿는다"며 힘을 실어 줬다.

그러나 중국은 22일 훙레이(洪磊) 외교부 대변인의 정례 브리핑을 통해 "현재 반도의 형세에서 대화·담판은 여전히 문제 해결을 위한 근본적인 방안이다. 6자 회담을 조속히 재개해야한다"며 반대입장을 밝혔다.

정 대변인은 '북한을 제외한 5개국이 조만간 만날 계획이 있는지' 여부에 대해 "박 대통령의 5자 회담 필요성 발언은 그런 말이 전혀 아니"라면서 "앞으로의 전개과정에 대해서는 말할 것이 없다"고 답변했다.

'5자 회담에 대해 중국과의 조율이 있는지'에 대해 정 대변인은 "5자 회담 뿐만 아니라 한미일, 한미중 소다자 협력 등 다양한 방안을 협의해왔다"며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다양한 국가들과 다각도로 협의해왔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의 '5자 회담 발언'은 주변국들과의 사전 조율없이 나온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과 중국이 이처럼 완전히 상반된 입장을 공식적으로 표명한데 대해, 청와대는 당혹해하며 파문을 진화하는 모습이다.박근혜 대통령은 1월 22일 외교‧국방‧통일 3개 부처 합동 업무보고 당시 "정책의 실효성을 높여나가는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면서 "6자회담만이 아니라 북한을 제외한 5자회담을 시도하는 등 다양하고 창의적인 접근 방법을 찾아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