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올해 주택 시장 전망은 대체로 부정적인 시각이 많았다. 집값은 큰 변동이 없거나 떨어질 것이라는 의견이 많았고, 전셋값은 오를 것이라는 의견이 절대적이었다.
25일 부동산리서치업체 리얼투데이는 지난 11일 설문조사기관 오픈서베이를 통해 수도권에 살고 있는 만 30세 이상부터 65세 이하의 수요자 1000명에게 '2016년 주택시장 전망'에 대해 조사했다.
조사에서 1000명 가운데 집을 소유한 사람(현재 배우자나 자녀명의 포함)은 64.5%(645명)였고, 35.5%(355명)는 집을 소유하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
앞으로 주택을 구입할 계획이 있는지에 대해서는 66.2%(662명)이 있다고 답했으며, 33.8%(338명)이 없다고 답했다.
주택 구입의 의사가 있는 662명은 주택구입 목적으로 내집 마련(실거주)이 53.02%(351명)로 가장 많았고, 이어 갈아타기 28.55%(189명), 투자 9.22%(61명), 임대사업 7.70%(51명) 기타 1.51%(10명)로 나타났다.
주택 구입의 적정시기에 대해서는 절반 이상인 51.96%(344명)이 2018년 이후가 적정하다고 답했다. 이어 2017년 하반기 15.11%(100명), 2017년 상반기 14.35%(95명), 2016년 하반기 12.39%(82명), 2016년 상반기 6.19%(41명)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이 구입하고 싶은 주택상품으로는 기존 아파트가 51.51%(341명)로 가장 많았고, 단독주택 20.67%(137명), 아파트 분양권 11.18%(74명), 빌라(다세대주택) 7.55%(50명), 주거용오피스텔 4.83%(32명) 다가구주택 3.02%(20명), 기타 1.21%(8명) 등의 순을 보였다.
이어 선호하는 주택 구입 방법은 기존 아파트 매입이 37.61%(249명)로 가장 많았고, 청약신청 22.81%(151명), 분양권 매입 12.39%(82명), 경매 12.09%(80명), 재건축·재개발 매입 11.63%(77명), 기타 3.47%(23명)로 나타났다.
올해 집값 전망에 대한 질문에서는 보합 40.6%(406명), 하락 32.8%(328명), 상승 26.6%(266명)를 나타내며 지난해와 비슷한 수준이거나 조금 떨어질 것으로 바라보는 시각이 많았다.
집값 등락률에 대해서도 보합의 의견이 22.4%(224명)로 가장 높았으며 이어 2~5% 상승14.1%(141명), 2~5% 하락 13.7%(137명), 5~10% 상승 12.1%(121명), 1~2% 하락 10%(100명), 1~2%상승 9.9%(99명), 5~10%하락 9%(9명), 10%이상 하락 4.6%(46명), 10%이상 상승 4.2%(42명) 순으로 나타났다.
전세 시장 전망에 대해서는 대부분 상승을 예상했다. 총 응답자의 77.1%(771명)가 전셋값이 오른다고 전망했고, 18.7%(187명)는 보합세를 내다봤다. 전셋값이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은 고작 4.2%(42명)에 불가했다.
전셋값 등락률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5~10% 상승 28.6%(286명), 2~5% 상승 22.9%(229명), 10%이상 상승 18.6%(186명), 0% 보합 13.4%(134명), 1~2% 상승 10.6%(106명), 1~2%하락 2.10%(21명), 5~10%하락 1.60%(16명), 2~5% 하락 1.50%(15명), 10%이상 하락 0.70%(7명) 순으로 답했다.
올해 유망투자처로는 응답자의 47.8%(478명)가 수도권 신도시를 꼽았다. 이어 서울 강남권 13.4%(134명), 서울 강북권 10.9%(109명), 혁신도시 8.9%(89명), 인천경제자유구역 7.6%(76명), 세종시 6.6%(66명), 5대 광역시 4.8%(48명) 등의 순으로 나왔다.<제공=리얼투데이>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