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글로벌.jpg |
(서울=포커스뉴스) 정부가 ICT(정보통신기술) 분야 창업 및 벤처기업을 지원한 결과 지난해 투자유치금액은 1021억원을 기록했다. 누적액 기준으로는 1452억원으로 2014년까지 누적유치액 431억원 대비 237% 증가했다.
미래창조과학부는 25일 이 같은 내용의 ICT 분야 창업․벤처기업에 대한 2015년 정책 지원성과를 발표했다.
지원 기업의 지난해 매출은 1718억원으로, 2014년 매출 1249억원 대비 38% 증가했다.
지난해 전체 임직원수는 6022명으로, 동일 기업의 2014년 말 임직원수 4640명과 비교해 30% 늘어났다. 신규 인력채용은 1382명으로 투입예산 1억원 대비 3.74명이 증가했으며 ICT 분야 벤처기업의 일자리 창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까지 누적 특허출원건수는 1135건으로, 동일 기업의 2014년 누적 특허출원건수 485건에 비해 134%로 크게 증가했다. 스타트업의 기술보호를 위한 적극적인 노력과 함께 지원 정책의 효과가 가시화 된 것으로 미래부는 평가했다.
대규모 투자 유치, 매출 증가, 글로벌 기업 협력 등 다양한 대표 사례도 발굴됐다. 초소형 양자난수생성기를 개발한 ‘이와이엘’과 핀테크 보안 기업 ‘에버스핀’의 경우 1년 여의 비교적 짧은 업력에도 불구하고 창업 이후 짧은 기간 내에 매출․투자 유치 성과를 이뤄냈다.
상시 멘토링 및 자금 지원 등 사업 고도화와 함께 민간 엑셀러레이터의 지원으로 성장한 기업 사례도 있다. 뇌졸중 환자들을 위한 스마트 재활 솔루션을 개발한 ‘네오펙트’는 미국 시장을 목표로 현지 법인 설립해 투자 유치 46억원에 성공하고 ISO 13485(의료기기 국제 인증)․CE 인증(제품 관련 유럽 인증)을 획득했다.
스마트스터디, ASD코리이 등 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컨설팅과 해외 현지 IR(기업설명회) 등에 참여한 기업의 성공사례도 눈길을 끈다.
최양희 미래창조과학부 장관은 “그간 정부는 창조경제의 성과 창출을 위한 핵심 과제인 창업․벤처 생태계 조성을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펼쳐왔으며 이번 조사 결과는 창조경제의 핵심 축인 ICT 창업․벤처기업들에게서 주목할 만한 성과가 도출된 것”이라고 말했다.지난해 정부의 창업 및 벤처 프로그램 참여기업의 성과내용.<그림제공=미래부>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