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지난해 수도권 전세가 상승률이 2001년 이래 최고 수준으로 나타났다.
1일 부동산114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수도권(서울·경기·인천)의 3.3㎡당 평균 아파트 전세가격은 894만원으로 2014년말(773만원) 대비 15.65% 가량 뛰었다.
이는 연간 상승률로 따지면 2000년 조사 이래 최고 전세가 상승률을 보였던 2001년(21.68%) 이후 15년만에 최고 상승률이다.
수도권 전세가격 상승은 올해도 이어지고 있다. 지난해 말 3.3㎡당 894만원이었던 수도권 전세가격은 1월말 기준 896만원으로 0.22% 가량 상승했다.
업계에서는 올해 입주물량이 예년과 비슷한 수준이어서 전세가격 상승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올해 수도권 입주 예정물량은 전체 11만30가구로 2014년(10만1201가구), 2015년(10만3473가구)과 별 차이가 없다.
반면 전세수요는 여전하다. 국토연구원이 대출규제 발표 이후인 지난해 12월, 전국 150개 자치단체 2204개 공인중개업소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한 결과, 수도권에서 전세를 임차하려는 사람이 임대인보다 많다고 응답한 비율이 56.2%로 나타났다.
전세시장이 불안한 상황에서 설 이후 수도권에서 신규 중소형 아파트들이 분양시장에 나올 예정이다.
삼성물산은 2월, 서울 광진구 구의1구역 재건축을 통해 ‘래미안 구의 파크스위트’를 분양할 예정이다. 이 단지는 지하 3층, 지상 10~23층 12개 동 전용면적 59~145㎡ 총 854가구 규모로 이중 조합원 분을 제외한 502가구가 일반에 분양될 예정이다.
같은 달 GS건설은경기 화성시 동탄2신도시 A8블록에서 979가구 규모의 ‘동탄 파크자이’를 분양한다. 전용면적 93~103㎡, 979가구 규모다.
GS건설·현대건설·포스코건설은 3월, 경기 고양시 일산동구 고양관광문화단지(한류월드) M1~M3블록에서 지하 3층~지상 최고 49층, 2194가구 규모의 복합단지 ‘킨텍스역 M프로젝트(가칭)’를 분양한다. 전용면적 84~142㎡의 공동주택 2038가구와 전용면적 84㎡ 오피스텔 156실로 구성될 계획이다.
포스코건설은 고양관광문화단지 M4블록에서 349가구의 복합단지 일산 레이크파크를 3월 분양할 계획이다. 지하4층~지상33층, 3개동으로 전용면적 84~104㎡ 아파트 299가구와 전용면적 84㎡ 오피스텔 50실이 조성된다.
GS건설은 오는 3월 경기도 용인시 수지구 동천2지구 A-2블록에 ‘동천자이 2차’를 분양할 계획이다. 이 단지는 지하 3층~지상 36층 7개동 전용면적 74~102㎡ 총 1011가구로 이뤄졌다.
현대건설은 3월, 경기도 광주시 태전7지구 C10·11블록에서 전용면적 62~84㎡ 1100가구 규모의 힐스테이트 태전 2차 아파트를 분양한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