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정보보호 기업 해외 진출 지원 강화

편집부 / 기사승인 : 2016-02-03 12:44:30
  • -
  • +
  • 인쇄
해외 정보보호 4대 전략 거점 구축

주요 28개 개도국과 ‘글로벌 사이버보안 협력 네트워크’ 구성
△ 해외진출.jpg

(서울=포커스뉴스) 정부가 정보보호 사업의 해외 진출을 위해 중동, 아프리카 등 전략국가를 중심으로 프로젝트 수주를 지원한다. 또 주요 28개 개도국과 ‘글로벌 사이버보안 협력 네트워크’를 구성해 ‘한국형 정보보호 모델’ 수출을 촉진한다.

미래창조과학부는 3일 제2차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정보보호 해외진출 확대를 위한 ‘K-ICT(정보통신기술) 시큐리티 해외진출 가속화 방안’을 수립·발표했다.

미래부는 실제성과 창출을 위해 △정보보호 해외 전략거점 구축 및 맞춤형 해외진출 지원강화 △글로벌 시장진출 협력 플랫폼 구축 △정보보호기업 해외진출 역량강화 등 3대 과제를 중점적으로 추진해 나갈 계획이다.

우선 중동, 아프리카, 중남미, 동남아 등 전략국가를 중심으로 정보보호 사업 발굴 및 프로젝트 수주를 지원하고, 시장 동향 정보제공 등 ‘현지 밀착형 지원‘을 위해 해외 정보보호 4대 전략 거점 구축을 추진한다.

또 신규 정보보호 프로젝트 발굴 추진을 위해 니카라과(중남미) ‘국가 정보보호센터 구축’ 사업 수주도 추진할 계획이다. 국가 연구개발(R&D) 성과를 세계 최대 보안전시회(RSA)에 출품해 기술 중심의 해외시장 진출을 도모한다.
아울러 국내 정보보호기업의 선진시장 및 전략국가 진출을 위해, 글로벌 전문전시회 참가(4회)를 지원한다. 단순 기술홍보뿐만 아니라 실질적인 수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사전 마케팅을 통한 해외바이어·투자자 1대1 상담 등 시장개척단 파견(2회)도 추진할 계획이다.

주요 28개 개도국과 협력 구심점(求心點) 구축을 위한 ‘글로벌 사이버보안 협력 네트워크(CAMP)’를 구성해 ‘한국형 정보보호 모델’ 수출을 연계한다. 이를 통해 전 주기 맞춤형 정보보호사업 수주지원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미국·EU 등 선진시장으로의 판로개척, 투자유치 등 진출 기회도 확대하기 위해 글로벌 협력 네트워크에 국내 기업 참여할 수 있도록 교두보를 마련한다.

정보보호기업의 해외진출 촉진을 위해 국방부·국정원·외교부·산업부·행자부 등 범정부 지원체계가 구축된다. 정부부처의 전문성을 활용해 재외공관 무관을 대상으로 초청 홍보를 추진하고, ICT 퇴직전문가의 인적네트워크를 통한 정보수집·제공 등 범정부 역량을 활용할 계획이다.

글로벌혁신센터(KIC, 워싱턴)를 활용해 유망 시큐리티 스타트업과 글로벌 시큐리티 전문기업과의 연계를 추진한다. 이를 통해 ‘K-글로벌, 시큐리티 스타트업’으로 육성된 시큐리티 스타트업의 글로벌 진출 확대를 도모한다.

미래부는 이 같은 방안을 통해 2020년까지 정보보호 수출 규모 4조5000억원 달성 및 정보보호 해외진출기업 250개 육성, 정보보호전문성과 해외진출 역량을 함께 갖춘 ’글로벌 보안 인재 1000명 양성‘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최양희 미래부 장관은 “미래부는 동 방안을 차질 없이 추진해 정보보호산업의 해외진출을 촉진하고, 창조경제의 먹거리화를 추진하기 위해 최선을 다해 노력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정부의 정보보호 해외진출 계획 개요.<표제공=미래부>정보보호 기업 해외진출을 위한4대 거점.<그림제공=미래부>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