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은 운동량→작은 뇌' 연관관계 발견
뇌 크기…뇌 '노화'와 관련 있어
(서울=포커스뉴스) 40대에 적당량의 운동을 하지 않으면 뇌가 쪼그라들지도 모른다.
영국 일간 인디펜던트는 40대에 하는 운동이 뇌가 수축하는 것을 방지하며 수명 연장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30대와 40대의 적은 운동량이 20년 뒤 '작은 뇌'로 연결된다는 것이다.
연구를 진행한 미국 보스턴 약학대학 니콜 스파타노 박사는 "적은 운동량과 수십 년 뒤의 뇌 크기 사이에 직접적인 연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며 "뇌 크기는 뇌 노화와 관련이 있다"고 말했다.
보도에 따르면 연구팀은 평균 연령 40세로 정신적 장애, 심장혈관 질환 등이 없는 성인 1583명에게 운동부하검사(Treadmill test)를 실시했다.
이로부터 20년 뒤 연구팀은 피험자들에게 운동부하검사와 더불어 MRI 뇌 스캔을 시행했다. 연구진들은 혈압 혹은 심장 등에 문제가 있거나 협심증약 등을 처방받은 피험자를 제외한 1094명을 선택했다.
실험을 종합한 연구진은 운동부하검사에서 낮은 점수를 받은 피험자들의 20년 뒤 뇌 크기가 더 작다는 결론을 내렸다. 약 2년가량 뇌 노화가 가속됐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연구팀은 운동부하검사에서 혈압과 심박 수가 높게 나온 집단의 20년 뒤 뇌 크기가 더 작은 경향이 있다고 발표했다.
스타파노 박사가 "적당한 운동을 한 사람들에 비해 운동량이 적었던 이들의 혈압, 심박 수 등이 더 높다"고 말했다고 인디펜던트는 보도했다.
인터넷매체 저널포커스는 스파타노 박사가 "아직까지 광범위한 연구가 진행된 것은 아니지만 이번 연구 결과는 중간 연령대에서의 운동이 심장 질환 등에 연관될 수 있다는 사실을 암시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신경학 저널(Journal Neurology)' 온라인판에 게재됐다.40대에 하는 운동이 뇌가 수축하는 것을 방지하며 수명 연장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연구를 진행한 미국 보스턴 약학대학 니콜 스파타노 박사는 "적은 운동량과 수십 년 뒤의 뇌 크기 사이에 직접적인 연관 관계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며 "뇌 크기는 뇌 노화와 관련이 있다"고 말했다. ⓒ게티이미지/멀티비츠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