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주관 통신사로 선정된 KT가 5G를 통해 현장의 생생함을 시청자의 눈앞에 펼친다.
KT는 15일 서울 세종로 KT 광화문 사옥에서 평창동계올림픽 조직위원회 관계자 및 평창동계올림픽 기술고문 등이 참석한 가운데 대회통신망 및 5G 올림픽 준비현황을 발표하고 ‘홀로그램 라이브’, ‘싱크뷰(Sync View)’ 등 5G 서비스를 선보였다.
싱크뷰(Sync View)서비스는 초소형카메라에 이동통신 모듈을 탑재해 5G 기반 기술인 액티브 안테나를 통해 초고화질영상을 실시간으로 전송하는 서비스다.
360도 VR은 동계올림픽 경기 360도 영상을 5G를 통해 다채널 라이브로 실시간 전송하는 실감형 서비스다. 시청자가 원하는 방향, 원하는 각도에서 경기를 관람 할 수 있다.
홀로그램 라이브(Hologram Live)는 '5G mm웨이브 백홀' 기술을 통해 전송되는 초고화질 원격 홀로그램 서비스로 보광 스노 경기장에서 방금 경기를 끝마친 선수가 순간이동 돼 시청자 눈 앞에서 인터뷰하는 것을 볼 수 있다.
오성목 KT 부사장은 “KT는 평창동계올림픽에서의 5G 시범서비스를 통해 무결점 5G 올림픽을 만들겠다”면서 “KT가 준비중인 5G네트워크와 서비스를 통해, 전세계 올림픽 시청자들이 보다 실감나고 안전한 올림픽을 즐기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KT는 성공적인 올림픽 개최를 위해평창지역에 구축되는 1391㎞의 통신 관로를 기반으로 3만5000개의 유선 통신라인을 설치하고 최대 25만여대의 단말이 동시에 수용 가능한 무선 통신망을 구축한다.
또 클라우드 기반의 데이터 센터를 구축해 보다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대회 통신서비스를 제공한다. 과천, 부산, 군산에 위치한 3개의 통신관제센터와 대용량 해저 케이블을 통해 끊김 없는 고품질의 영상을 전 세계 시청자들에 전송한다.
현재 평창동계올림픽의 대회 통신망은 30%이상 구축(2월 기준)을 완료 하였으며 경기 시설 구축일정에 따라 올해 말까지 전체 통신망 구축 작업이 완료된다. 2017년부터는 본격적인 대회통신망 운영에 들어갈 계획이다.
KT는 지난 1월 2018년에 선보이는 5G 서비스의 핵심 목표를 최대속도 20Gbps(초당 전송속도) 1㎢당 1백만개 이상의 디바이스 접속으로 확정했다. 6월까지 5G 시스템과 단말의 규격을 확정하고 하드웨어적인 시스템 개발과 검증을 12월 내 완료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