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관영 언론 "중국, 대북 제재 강화해야"

편집부 / 기사승인 : 2016-02-15 21:15:48
  • -
  • +
  • 인쇄
인민일보, 대북 제재 강화해야 사드도 막을 수 있어

환구시보, 북한에 대한 중국 여론 점점 악화돼

중국의 대북 정책 변화 가능성 시사
△ 북 광명성 4호 발사성공

(서울=포커스뉴스) 중국 관영 언론들이 대북 제재를 강화해야한다는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중국 관영 영자신문 차이나데일리는 15일(현지시간) '한반도 위기엔 사드가 아닌 제재'라는 사설을 통해 대북 제재가 시급히 추진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매체는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로켓 발사 성공을 언급하며 "핵무기로 무장한 북한의 위협이 점점 현실화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중국이 UN의 대북 제재에 동참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지만 이로선 충분치 않다”며 “중국과 미국이 얼마나 강하게 북한을 제재할지 합의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매체는 또 "북한은 핵무기 개발 속도는 더욱 빨라질 것"이라며 "이로 인한 위기는 사드의 한반도 배치 시기를 앞당기게 된다"고 경고했다.

사드에 대해 걱정하기보다 북핵을 무력화시킬 만큼의 대북 제재안을 적극 추진해야 사드도 막을 수 있다는 의미다.

중국 관영 인민일보 자매지 환구시보 영문판인 글로벌타임스도 중국의 대북 정책에 대한 회의적인 여론에 대해 전했다.

매체는 15일 북한이 중국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계속 도발 행위를 하면서 북한에 대한 중국 여론이 복잡해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예전엔 북한을 오랜 친구이자 완충지대로 여겼지만 지금은 중국의 '짐'으로 생각한다는 것이다. 실제로 북한을 중국의 부담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60%가 넘는다고 매체는 전했다.

또 북한에 대한 중국 국민의 정서가 그리 좋지 않다는 점과 북한을 보호해서 얻을 이익이 없다고 인식하기 시작했다는 점은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라고 분석했다.

여론이 중국의 대외 정책을 직접적으로 주무를 순 없지만 변화의 단초가 될 수 있다는 의미다. 이는 중국의 대북 정책이 바뀔 여지가 많음을 시사하는 부분이다.

매체는 이어 "미국이 북한에 경고하는 것은 효과가 없다"며 "중국이 나서 유연성을 확보하고 마지노선을 사수해야 한다"고 중국의 주도적 대응을 강조했다.

매체는 마지막으로 "중국은 때때로 힘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해 실패했다"며 "북한 앞에서 비틀거려선 안 된다"고 강력한 대북 제재를 실시할 것을 주장했다.(서울=포커스뉴스) 북한 조선중앙TV가 7일 보도한 지구관측위성이라고 주장하는 광명성 4호의 발사장면. 2016.02.07 포커스뉴스포커스포토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