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서울시가 미래사회 대응을 위해 통계청의 장래인구 추계자료를 토대로 오는 2033년까지 25개 자치구별 미래인구를 처음으로 추계했다. 기존에는 시 단위의 추계치만 확인할 수 있었던 것을 세분화한 것이다.
서울시는 이러한 내용을 포함해 각 자치구별 미래 예상 총인구, 연령별 인구구조 통계 등을 담은 '2013-2033년 서울시 자치구별 장래인구 추계(2016.1.추계)' 자료를 서울통계 홈페이지(http://stat.seoul.go.kr)에 16일 공개했다.
서울시 분석에 따르면 지난 2013년 10.9%인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오는 2019년 14.3%로 증가해 '고령사회(고령인구 비율이 14% 이상)'로 첫 진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고령인구 비율 20% 이상)'로 들어서 2032년에는 서울시 모든 자치구의 고령인구 비율이 20%를 넘는 초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예상됐다.
반면 유소년(0세~14세)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해 2013년 125만8000명에서 2033년 105만1000명으로 20만8000명 감소할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향후 20년간 서울시 모든 자치구의 인구구조는 현재 '항아리' 형태에서 점차 저연령층이 줄고 고연령층이 늘어나는 '역피라미드' 형태로 변화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됐다.
자료에 따르면 중위연령(총 인구를 연령별로 세워 정 중앙에 있는 사람의 연령)은 전 자치구 평균 2013년 39세에서 2033년 48.6세로 9.6세 높아질 것으로 전망되며 50세가 넘는 자치구도 9개나 될 것으로 예상됐다.
또 생산가능인구(15세~64세)는 2013년 758만3000명(76.4%)에서 점차 감소세를 보여, 2033년에는 601만7000명(63.6%) 수준이 되는 것으로 예상됐다.
생산가능인구 100명 당 부양해야 할 인구수를 의미하는 총부양비는 2013년 30.9명에서 2033년에는 57.2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됐다.
한편 서울시 전체 인구는 2013년 992만6000명에서 출생아 감소, 타 도시로의 이동 증가 등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감소해 2033년에는 946만명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김기병 서울시 통계데이터담당관은 "서울시 25개 자치구의 향후 20년 인구 변화 전망치를 처음으로 추계했다"며 "이는 노인·청소년 정책은 물론 시민생활과 밀접한 주택·교통·복지 등 서울시 주요 중장기계획의 효과적인 수립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