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안부 피해 할머니 별세…정치권도 '애도'

편집부 / 기사승인 : 2016-02-16 15:47:28
  • -
  • +
  • 인쇄
더민주·정의당, "한일 외교장관 회담 파기·재검토" 한목소리
△ 정기수요집회

(서울=포커스뉴스)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최모(90) 할머니 별세 소식에 정치권도 애도의 뜻을 전했다.

더불어민주당은 16일 김성수 대변인의 서면 브링을 통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 한 분이 또 세상을 떠나셨다. 고인의 명복을 빌며, 영면하시기를 기원한다"과 애도했다.

김성수 대변인은 이어 "작년에만 아홉 분의 할머니께서 일본의 사죄를 받지 못한 채 세상을 떠났다. 올해 이렇게 또 한 분이 또 떠나시니 안타깝고 죄송할 따름"이라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박근혜 정부는 지난 해 한일 외교장관 합의를 통해 일본 정부에 위안부 문제에 대해 '최종적, 불가역적 합의'라며 면죄부를 줘 피해 할머니들에게 또 한 번의 상처를 주었다"며 "더 늦기 전에 잘못된 한일합의를 파기하고 일본 정부의 법적 책임 인정과 책임 있는 사과를 요구할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정의당도 이리원 부대변인을 통해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인 최 모 할머니가 어제 저녁 세상을 떠났다. 결국 살아생전에 일본의 진심어린 사과를 받지 못했다. 70년 동안의 기다림은 한으로 남았다"면서 애도의 뜻을 밝혔다.

이리원 부대변인은 "이제 위안부 피해자로 등록된 238명 중 생존자는 45명밖에 없다. 우리는 영원히 용서받을 수 없는 역사적 아픔의 위기에 직면해 있다"고 토로했다.

이 부대변인은 작년 말 '한일 위안부 합의'에 대해서도 "정부는 할머니들의 아픔을 외면하고 국민과 역사를 단돈 몇 푼에 팔아넘겼다. 피해자는 있는데 가해자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비상식적인 상황을 만들어 버렸다"고 비판했다.

이어 "위안부 협상의 무효를 촉구하는 국민들의 목소리가 아직까지 계속 되고 있다. 정부는 지금이라도 잘못된 협상을 인정하고 위안부 협상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는 지난 15일 오후 8시 29분 경남 양산시의 한 요양병원에서 위안부 피해자 최 할머니가 별세했다고 16일 밝혔다.

최 할머니는 1926년 경남 양산에서 태어나 16세에 일본 공장에서 일하게 해준다는 말에 속아 대만으로 끌려갔다.

정대협 측은 "최 할머니는 해방 후 고향으로 귀국했지만 가난과 성노예 생활로 인해 생긴 질병으로 고통스럽게 생활하셨다"고 말했다. 유족들의 요청으로 최 할머니 빈소 등은 공개되지 않는다.

최 할머니의 별세로 정부에 등록된 위안부 피해자 238명 중 생존자는 45명이 됐다.13일 오후 서울 종로구 구 일본대사관 앞에서 열린 제1213차 일본군 위안부 문제해결을 위한 정기수요집회에서 참가자들이 손피켓을 들고 있다.2016.01.13 김인철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