與 공천 갈등 확산…우선추천? 아니면 전략공천?

편집부 / 기사승인 : 2016-02-18 17:21:03
  • -
  • +
  • 인쇄
도입 취지와 달리 '현역 물갈이용 전략공천' 인식 팽배
△ 김무성 대표와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

(서울=포커스뉴스) 새누리당의 공천룰과 관련해 '우선추천지역 확대'가 도입 당시 취지와 달리 '전략공천'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이한구 공천관리위원장은 지난 16일 전국 17개 광역시·도에 최소 1곳에서 최대 3곳까지 우선추천지역을 도입하겠다고 밝혔고, 이에 대해 100% 상향식 공천 원칙을 천명한 김무성 대표가 강력하게 반대의사를 표시한 것.

우선추천지역은 △여성·장애인 등 정치적 소수자의 추천이 특별히 필요하다고 판단한 지역 △추천 신청자들의 경쟁력이 현저히 낮다고 판단한 지역 등에 한해 경선없이 공천을 주는 제도로, 지난 2014년 도입 당시부터 '전략공천'으로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를 받았다.

이런 가운데 지난 2014년 당헌당규 개정 당시 우선추천지역 제도를 '아주 예외적으로 대비한 조항'이라고 언급한 친박계 의원들의 발언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당시 친박계 의원들은 우선추천지역에 대해 '자의적 가능성 배제' '아주 예외적으로 대비한 조항' '공천 공백 해소를 위해 넣은 것'이라고 말하며 전략공천 가능성이 없다고 단언했다.

지난 2014년 2월25일 열린 새누리당 전국상임위원회에서 황우여 당시 대표는 "우선추천지역의 핵심은 취약지역, 정치적 소수자, 공모신청 후보자가 없을 때 또는 경쟁력이 없는 신청자의 경우에만 가능성을 둔 것"이라며 "자의적인 가능성을 배제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친박계 좌장 최경환 의원(당시 원내대표)은 "전략지역과는 전혀 다른 개념"이라며 아주 예외적으로 대비한 조항이다. 과거의 전략지역과 똑같다는 걱정은 안 해도 된다"고 설명했다.

친박계 유기준 의원(당시 최고위원)도 "우선추천지역은 도저히 이길 수 없는 경우를 대비한 것이며 공천에서의 공백상태를 해소하기 위해서 넣은 것"이라고 했다.

이한구 위원장(당시 당헌당규개정특위 위원장)은 "이제 전략공천이라는 것은 없다"고 단언하기도 했다.

이같은 발언에도 불구하고 현재 이 위원장이 추진하는 우선추천지역 확대에는 '전략공천'의 소지가 남아있다는 지적이다.

당 관계자는 "이 위원장의 안(案)대로라면 최대 51개 지역구에 우선추천지역이 도입되게 된다"며 "이럴 경우 사실상의 현역 물갈이나 다름 없다"며 전략공천의 가능성을 시사했다.

18일 현재까지 여야 지도부가 잠정합의한 지역구 253석 안에 비춰봤을 때 최대 약 1/5의 지역구가 우선추천지역의 대상이 될 수 있는 것.

일각에서는 진박(眞朴·진짜 친박) 후보들의 부진이 계속되자 '우선추천지역'을 통해 현역물갈이를 시도하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된다.

반면, 이한구 위원장은 지난 16일 브리핑을 통해 "정치적 소수자를 배려하기 위한 것"이라며 선을 그었다.김무성(오른쪽) 새누리당 대표가 11일 오전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공천관리위원회 임명장 수여식에 참석해 이한구 위원장에게 임명장을 수여한 뒤 각각 자리로 향하고 있다. 2016.02.11 박동욱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