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외교부가 북한이 4차 핵실험 전 미국과 평화협정을 논의하기로 한 데 합의했다는 미국 월스트리트저널 보도에 대해 "평화협정 문제와 관련한 미국의 기존 입장은 변한 것이 없다"고 22일 밝혔다.
미국의 북한에 대한 '선(先)비핵화 후(後) 협상' 기조가 변하지 않았다는 것을 외교부가 다시 확인한 셈이다.
외교부는 "한국과 미국은 최근 정상회담 및 통화 등을 통해 북한 핵문제를 최고의 시급성과 확고한 의지를 갖고 다루고 있다"묘 "북한과의 어떤 대화에 있어서도 비핵화가 우선시 돼야 한다는 일관된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외교부는 또 존 커비 미국 국무부 대변인 언급을 인용해 "현재 한미 양국은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한 유엔 안보리의 강력하고 실효적인 제재 결의 채택 등을 포함해 포괄적인 대북 제재와 압박이 이뤄지도록 국제사회와 함께 모든 외교적 노력을 경주해 나가고 있다"고 전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21일(현지시간)자 신문에 미국 고위급 정부 관계자의 말을 인용해 "오바마 정부와 북한은 한국 전쟁을 완전히 종식시키기 위한 협정을 논의하기로 비밀리에 합의했다"고 보도했다.
월스트리트저널에 따르면 미국은 그동안 선 비핵화 후 협상을 주장했지만 이를 포기하고 북한과 평화협정에 합의한 것이다.
미국은 북한의 핵무기 개발 프로그램을 평화협정 논의에 포함시킬 것을 요구했으나 북한은 이를 거절하고 며칠 뒤 핵 실험을 감행했다고 월스트리트저널은 전했다.
이에 대해 미 국무부는 이는 북한에 대한 미국의 오랜 기조에 따른 것이라며 북한과 합의가 있었음을 인정했다.
존 커비 미 국무부 대변인은 "분명히 하자면, 평화협정을 제안한 쪽은 북한"이라며 "우리는 그들의 제안에 대해 신중히 고민했고 북한의 비핵화 조치가 논의에 포함돼야 한다는 것을 분명히 했지만 북한이 이를 거절했다"고 밝혔다.
이어 그는 "북한의 제안에 대해 우리가 응답한 것은 비핵화에 초점을 둔 미국 정부의 오래되고 일관된 기조"라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