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및 인터넷 개인고객 유치보다는 기업 대상으로 사업 확장
![]() |
△ 유.jpg |
(서울=포커스뉴스) KT가 개인용 유클라우드 서비스의 용량을 돌연 절반 이상 축소한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7일 KT에 따르면 유클라우드 베이직 상품의 제공 용량이 30일자로 50GB에서 20GB로 변경된다. KT는 공지를 통해 ‘현재 사용 중인 용량이 20GB 초과 시 3개월 이내 다운로드 하길 바란다’고 알렸다.
유클라우드는 PC는 물론 스마트폰과 태블릿을 통해 개인용 클라우드 공간에 저장된 다양한 사진, 음악, 영상 문서 등의 자료를 언제 어디에서나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다. 현재 160만 여명 이상이 사용하고 있다.
KT는 2011년 올레 모바일과 인터넷 고객을 대상으로 유클라우드 베이직 상품(무료, 20GB), 프리미엄 상품(4000원, 100GB), VIP 상품(월 1만2000원, 300GB)을 출시했다. 하지만 출시 당시부터 모바일과 인터넷 가입자 유치 목적으로 현재까지 베이직 상품 제공 용량을 50GB로 상향 조정해 운영했다. 타사보다 많은 제공용량 때문에 KT 모바일 및 인터넷을 선택하는 소비자도 많았다. SK텔레콤의 T클라우드는 20GB, LG유플러스의 유플러스 박스는 15GB, 네이버클라우드는 30GB의 무료용량이 제공된다.
하지만 KT는 5년 만에 돌연 유클라우드 제공 용량을 절반 이상 줄였다. 무료로 제공되는 베이직 상품에 한해서다. 무료 유클라우드 서비스를 미끼로는 더 이상 모바일과 인터넷 개인 가입자를 유치하기 어렵다는 판단을 내린 것으로 보인다. 구글 포토 등이 무제한 클라우드 용량을 제공하고 있어 더 이상 ‘무료 용량 제공’은 경쟁력을 상실했다는 계산을 한 것으로도 풀이된다.
이에 대해 소비자들은 “출시 이후 계속해서 제공하던 용량을 절반이 이상 줄인다니 황당하다”, “잘 쓰고 있었는데 초과되는 용량을 다 백업해야 하게 생겼다”며 불편을 호소하고 있다.
KT는 “출시 이후 20GB 무료용량 제공에 혜택 프로모션 30GB를 추가해 총 50GB 를 제공해왔지만 프로모션이 종료된 것”이라며 “클라우드 서비스의 무료용량 경쟁을 탈피해 모바일 중심의 백업 서비스로 변모를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유클라우드 베이직의 무료 용량은 변경되나 타사 대비 최대 수준으로 제공된다”고 덧붙였다.
KT는 개인보다는 기업 대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를 확장한다는 방침이다. 최근에는 클라우드 데이터 센터를 미국 로스앤젤레스(LA)에 구축해 국내 기업들이 해외에서도 동일하게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KT가 유클라우드 베이직 상품의 무료용량을 축소했다.<사진=KT 홈페이지 캡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