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정보위원회 회의 참석하는 이병호 |
(서울=포커스뉴스) 남북 간 긴장 고조로 북한의 사이버테러에 대한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최근 국내 외교 안보 인사들에 대한 해킹 시도가 일부 성공한 것으로 드러났다.
주호영 정보위원회 위원장은 11일 오후 열린 사이버테러방지법 논의를 위한 국회 정보위 전체회의를 마친 뒤 브리핑을 열어 "(국정원에 따르면) 지난 2월 말부터 3월 초까지 정부 주요 외교안보 인사 수십 명에 대한 스마트폰 해킹 공격이 있었다”며 "(북한은) 해킹한 스마트폰에서 통화내역, 문자메시지, 음성메시지까지 절취했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과거 무차별적으로 자행됐던 북한의 사이버 테러 방식이 특정 인물에 대한 해킹으로 변화했다고 지적했다.
정 위원장은 "(북한이) 예전엔 수만 명에 대한 해킹을 시도했다면 이번엔 청와대와 외교부 등을 사칭해 300명에 대해 해킹을 시도, 40명을 성공했다"며 "그 중엔 우리가 아는 핵심 군관계자 등 책임자들이 다 들어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들에 대한 해킹은 2차 피해를 야기할 수 있다는 점에서 더 문제가 된다"고 북한의 사이버 테러에 대한 우려감을 표했다.
특히 전현직 공직자들에 대한 북한의 심리전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상에서도 벌어진 것으로 밝혀졌다.
주 위원장은 "지난해 말부터 국내엔 없는 가상의 기관 직원이라고 위장, 미모의 여성 사진을 페이스북 계정에 내세워 전현직 공직자 수십명에게 민감한 정책자료를 요구하는 일이 있었다"며 북측의 진화된 심리전 방식에 설명했다.
이같은 북한의 사이버 테러에 대응하기 위해 사이버테러방지법이 조속히 통과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의 해킹 대응 방식으론 제대로 된 범국가적 대응 어렵다"며 "민·관·군이 사이버테러에 대해 유기적이고 종합적 대응을 할 수 있는 근거법이 사이버테러방지법"이라고 힘줘 말했다.(서울=포커스뉴스) 북한이 장거리 미사일 발사를 강행한 7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이병호(왼쪽) 국가정보원장이 정보위원회 회의에 참석하고 있다.2016.02.07 오장환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