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우 10'이 미 국방부와 관련 산하 기관에 표준 운영체제로 채택됐다고 14일 밝혔다.
기존 운영체제에서 윈도우 10으로 표준화한다는 국방부장관의 지시에 따라 전투사령부 등 미 국방부 산하 기관들은 1년 내 약 400만 여개 디바이스와 시스템을 모두 윈도우 10으로 업그레이드한다. 이번 도입을 통해 최근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사이버 보안을 더욱 강화할 예정이다.
이는 윈도우 10이 미 국방부가 요구하는 최고 수준의 보안 기준을 충족시킨 결과다. 윈도우 10은 미국 정부의 국가정보보증프로그램의 모바일 기기 CC(Common Criteria) 보안 인증인 'MDFPP(기업 환경에서 사용하는 모바일 디바이스에 관한 보안 표준)' 평가를 통과한 바 있다.
윈도우 10과 함께 서피스(Surface) 제품군도 미 국방부의 통합 성능 승인제품 인증을 획득했다. 이는 미 국방부의 엄격한 보안 및 상호운용성 조건을 통과해 국방부 산하 기관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인 디바이스로 인정받았다는 뜻이다.
테리 핼버슨 미 국방부 최고정보관리책임자는 “미 국방부는 사이버보안과 IT에 매년 약 380억 달러를 사용하고 있는데, 보다 효율적이며 비용절감이 가능하면서 하나의 플랫폼에 표준화된 시스템이 필요했다”고 윈도우 10을 선택한 이유에 대해 설명했다.윈도우10 로고. <사진제공=한국마이크로소프트>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