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sk이노.jpg |
(서울=포커스뉴스) SK가 대기업과 벤처기업의 윈-윈(Win-Win) 성과 창출을 위해 27억을 투자한다.
SK텔레콤은 15일 장동현 SK창조경제혁신추진단장 주재로 을지로 사옥에서 크레모텍과 씨메스, 패밀리 등 벤처업체 3곳과 지분 매입 방식의 직접 투자 협약을 체결했다. SK는 크레모텍에 10억원, 씨메스에 9억원, 패밀리에 8억원 등 총 27억원을 지분 참여 형태로 투자한다.
이번 협약은 SK의 기획, 유통 등 밸류체인(Value Chain)과 벤처의 혁신기술을 연계해 함께 성과를 거두겠다는 SK의 벤처 지원 확대 방안의 결과물이다. 벤처 업체들이 초반 ‘데스밸리(Death Valley, 벤처들이 창업 5년 이내에 자금난에 빠지는 현상)’를 뛰을 수 있도록 직접 투자와 판로 개척, 마케팅 등을 지원하는 것이 핵심이다.
SK는 투자와 추가 지원을 통해 벤처업체들이 기술·제품 경쟁력에 대한 외부 신뢰도를 높이고, 투자 유치와 판로 개척에 힘을 얻는 등 본격적인 성장 발판을 얻을 것으로 기대했다. 또 벤처업체가 대기업의 인큐베이팅 시스템을 만나 대기업의 투자 속에 본격적인 성장을 이뤄가는 창조경제식 선순환 구조를 형성할 수 있도록 지원에 나설 방침이다.
협약식에서 장 단장은 인사말을 통해 성장 잠재력을 갖춘 업체를 대상으로 한 ‘우수업체 포스트-BI(Business Incubator)’ 등의 추가 지원 방안들도 제시했다. 우수벤처 포스트-BI는 혁신센터에서의 인큐베이팅이 종료됐거나, SK의 사업과 연계해 성장 잠재력을 갖춘 벤처들을 대상으로 한다. 이들이 초기의 성장 어려움을 극복하고, 양산 및 판매를 통한 안정화 단계에 진입할 수 있도록 △멘토링 △네트워킹 △사무공간 △비즈니스 협력 및 판로 등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SK는 2017년 완공 예정인 대전 사이언스빌리지 공간을 활용해 포스트-BI 센터를 운영하는 동시에 글로벌 벤처캐피탈과 공동으로 300억 규모의 글로벌 펀드를 조성해 벤처들의 투자 유치와 해외 진출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SK는 이 같은 벤처업체와의 상생협력 노력들이 SK와 벤처업체의 서로 다른 밸류체인이 한데 어우러져 새로운 가치를 만드는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의 성과로 이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장 단장은 “앞으로도 창조경제혁신센터를 통해 성장한 벤처업체가 대기업의 가치사슬과 연계해 함께 성장하는 ‘상생협력’에 지속적으로 앞장서겠다”고 강조했다.SK텔레콤이 벤처기업들과 만들 계획인 개방형 혁신 개념도.<그림제공=SK텔레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