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핵 4관왕, 불명예 벗자"…보건당국, 팔 걷었다

편집부 / 기사승인 : 2016-03-24 11:41:12
  • -
  • +
  • 인쇄
고교1학년·만40세 대상 생애주기별 잠복결핵검진 필수화

2025년까지 선진국 수준으로 낮추기 위해 예방 정책 펴기로
△ 20160324_113242.jpg

(서울=포커스뉴스) ‘결핵 4관왕’이라는 불명예를 안고 있는 한국정부가 명예 회복을 위해 본격적으로 나선다.

정부는 24일 고등학교 1학년 및 만40세를 대상으로 잠복결핵검진을 실시하는 등의 내용을 담은‘결핵 안심국가 실행계획’을 논의・확정했다.

결핵은 전염성 질환 중 HIV·AIDS 다음으로 사망자가 많은 질환으로 HIV 감염, 말라리아와 더불어 심각한 전염병 중 하나다.

현재 우리나라는 OECD 국가 중 결핵 발생률, 사망률, 유병률, 다제내성 결핵 환자수가 각각 1위에 이름이 올라와 있는 등 ‘결핵 4관왕’이라는 불명예를 차지하고 있다.

실제로 2014년 OECD 가입국의 3대 지표를 살펴보면, OECD 국가의 평균 결핵 발생률은 인구 10만명 당 12.0명, 유병률 14.8명, 사망률 0.7명이다.

이에 비해, 우리나라의 결핵 발생률은 인구 10만 명 당 결핵 발생율 86명, 유병률 101.0명, 사망률 3.8명으로 1위를 차지했다.

정부는 현재 OECD 최하위인 결핵 발병 지표를 2025년까지 선진국 수준으로 낮추기 위해 선제적 예방 정책을 펼치기로 했다.

우선 새로운 결핵 발병 환자가 급격하게 증가하기 시작하는 연령인 고교 1학년 학생과 만 40세 국민 전체를 대상으로 잠복결핵검진을 실시하고, 양성의 경우 무상으로 치료할 수 있도록 했다.

고등학생 1학년 대상 건강검사 항목에 잠복결핵검진을 추가(학교건강검사규칙 개정, 교육부령)해 2017년부터 연간 60만명을 대상으로 검진을 실시할 계획이다.

또한 생애전환기 건강진단 대상인 연간 85만명에 달하는 만 40세 국민을 대상으로 2017년부터 잠복결핵검진을 실시한다는 방침이다.

잠복결핵은 결핵균에 감염됐으나 아직 발병하지 않은 상태로, 이중 약 10%가 평생에 걸쳐 발병한다. 적절한 치료시 발병을 90% 이상 예방할 수 있다.

이밖에도 △영유아시설(유치원・어린이집)과 학교(초·중·고교)의 교직원 △의료기관・산후조리원 종사자 △징병검사자를 대상으로 잠복결핵검진을 의무화해 집단시설 내 결핵 전파를 차단키로 했다.

검진 및 치료비도 무료로 제공된다. 그동안 결핵을 치료할 경우 본인부담금 5%를 부담해야 했지만 3월부터는 보건소에서 검진과 치료가 모두 무료로 제공된다. 7월부터는 보건소 뿐만 아니라 민간.공공 의료기관에서도 무료 검진 및 치료가 가능해 진다.

정진엽 장관은 “우리나라는 높은 경제 수준과 보건의료 여건에도 불구하고 결핵 관련 지표가 모두 OECD 최하위에 머물러 있다”고 설명했다.

정 장관은 “결핵후진국에서 탈피하기 위한 전환점을 마련하기 위해 그동안 실시해 온 △신생아 결핵 예방 백신(BCG) 무료접종 등 관리 수단을 보다 두텁게 하는 동시에, 결핵 발병 전 단계인 잠복결핵에 대한 적극적인 검진·치료 정책을 도입해 결핵 발생을 사전에 차단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2014년 OECD 가입국의 결핵 3대 지표(단위: 명/인구10만명)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