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포커스뉴스) 주요 20개국으로부터 글로벌 금융시스템 안정 및 금융규제 개선 임무를 받아 수행하고 국제 협의체 금융안정위원회(FSB) 도쿄 총회에서 자산운용사의 펀드 유동성 관리 체계 감독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시됐다.
금융위원회는 30~31일까지 1박2일 일정으로 일본 도쿄에서 진행된 FSB 도쿄 총회에서 금융시스템의 잠재적 취약 요인으로 개방형 펀드의 유동성 불일치가 꼽히고 있으며, 이를 사전 관리하기 위해 자산운용사의 펀드 유동성 관리체계 감독과 유동성 테스트 필요성에 대해 의견이 모였다고 31일 밝혔다.
개방형 펀드의 유동성 불일치란 비교적 투자자의 환매가 자유로운 개방형 펀드가 비유동자산에 투자해 기초자산보다 펀드 수익증권·지분의 유동성이 높아 생기는 리스크를 모두 포함한다.
또 FSB는 전 세계의 성장 둔화, 자금 공급 위축, 통화정책 다변화가 최근 시장의 위험기피 심리를 심화시키고 있다고 진단했다.
최근 경제 상황에 따른 신흥국 등의 저성장 기조로의 전환, 높은 기업부채 수준, 글로벌 무역 둔화 등이 맞물려 동반 위기로 전이될 가능성도 우려했다.
경제 리스크 요인에 대응하기 위해 FSB는 금년 중 거시건전성 정책경험 분석, 금융회사 지배구조 감독 가이드라인, 중앙청산소 정리 가이드라인을 개발할 방침이다.
한편, 이번 도쿄 총회에는 김학균 금융위 상임위원이 참석했다.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