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kt사진보도자료1]kt_giga_스마트팜_출시11.jpg |
(서울=포커스뉴스) KT는 스마트팜 설비 구축비용을 최대 40%까지 줄여주고 온실시설 제어 성능을 대폭 향상시킨 ‘KT 기가 스마트팜’ 서비스를 26일 출시했다. 기가 스마트팜은 센서가 달린 사물인터넷(IoT) 기기를 통해 재배시설의 온도·습도·일사 등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따라 제어장치를 구동해 최적의 작물 재배환경을 구현하는 솔루션이다.
농림축산식품부에서 1월 실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스마트팜 도입 걸림돌로 ‘초기 투자 및 관리비용 부담’이 53.8%, ‘정보통신기술(ICT) 사용의 어려움’이 16.7%로 각각 1,2위를 차지했다.
KT는 농가의 초기비용 부담을 낮추기 위해 융합기술원에서 자체 개발한 스마트팜 솔루션을 적용하고, 스마트팜 도입 비용을 기존 대비 최대 40%가량 낮췄다.
또 스마트팜 통합 관제센터에서는 농가시설의 이상 유무를 24시간 모니터링하기 때문에 외출 시에도 안심하고 이용할 수 있다. IoT 상품의 취약점으로 지적되는 PC 및 스마트폰 해킹차단 기능을 강화했으며, 머신 러닝(Machine Learning) 기반 온실별 맞춤형제어를 적용해 시설 제어 성능을 크게 향상시켰다.
KT는 스마트팜 도입 농가의 또 다른 고민인 ICT 기술사용의 어려움 및 에프터서비스(AS)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스마트팜 실습교육장과 현장지원센터를 전국 주요 10개 거점 지역에 개설한다. 실습교육장에서는 실제 농업 현장과 동일한 환경에서 스마트팜 장비를 활용한 농업 교육을 받을 수 있다. 서울, 용인, 담양, 부여, 성주 5개 지역의 농업기술센터와 KT가 공동으로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7월 중 문을 열 예정이다.
스마트팜을 도입한 농가의 이용 불편 및 AS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마트팜 솔루션 공급업체 최초로 전국 주산지 5개소(용인, 김제, 논산, 성주, 춘천)에 직접 출동이 가능한 현장지원센터도 운영 중이다.LG유플러스는 작물 재배환경을 관제하는 '기가 스마트팜'을 26일 내놨다.<사진제공=KT>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