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dscn2675.jpg |
(서울=포커스뉴스) 중국의 통신장비 업체 화웨이가 북한, 이란 등 제재 국가에 미국 정부가 금지하는 장비와 부품을 수출한 혐의를 받고 있다.
2일(현지시간) 미 일간 뉴욕타임스(NYT)와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최근 화웨이에 북한, 시리아, 이란, 쿠바, 수단 등에 미국 기술이 일정 부분 이상 포함된 제품을 수출한 5년치 내역을 제출할 것을 요구하는 소환장을 보냈다.
또 화웨이가 제3 회사를 통해 이들 나라로 보낸 5년치 화물 내역 기록도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미국은 미국 기술이 일정 부분 이상 포함된 제품을 이들 제재 국가에 수출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NYT가 입수한 소환장에 따르면 상무부는 화웨이 관계자들에게 지난 달 중 직접 회의에 참석해 증언을 하도록 요구하고, 그 전에 관련 정보도 제공할 것을 명령했다. 상무부가 보낸 소환장은 행정적 소환장으로, 범죄행위에 대한 조사 의미를 가지고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상무부의 화웨이 조사로 인해 G2로 불리는 미국과 중국의 마찰이 불거질 수 있다고 NYT는 분석했다. WSJ은 “중국 기업 화웨이를 겨냥한 미국 정부의 이번 조사로 미국과 중국간 긴장이 커질 수 있다”고 전했다.
앞서 상무부는 지난 3월 또 다른 중국의 통신장비 업체인 ZTE가 제재국가에 수출 제한 품목들을 재수출했다며 제재 조치를 취했다. 이 조치로 미국 기업은 ZTE에 장비와 기술을 수출하기 전 상무부의 허가를 받아야한다.<바르셀로나=왕해나기자> MWC2016 전시관 3홀 중심을 차지한 중국 화웨이. 2016.02.24 2016.02.24 왕해나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