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춘 "북방한계선 주변 중국 어선 단속, 군 나서면 안돼"

편집부 / 기사승인 : 2016-06-15 08:57:39
  • -
  • +
  • 인쇄
"군 나서서 직접 개입하면 더 큰 문제 야기"

우상호, 軍 동원 제안과 배치

"세월호 참사 규명서 대통령 7시간 행적 조사 빼야"
△ 당선 인사하는 김영춘 신임 농해수위원장

(서울=포커스뉴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에 선출된 김영춘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5일 중국 어선의 불법 조업 문제와 관련 "가급적 군(軍)이 나서지 않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는 당 원내지도부 입장과 배치되는 것으로 주목된다.

김 의원은 이날 오전 MBC 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과의 인터뷰에서 "민간의 일을 군이 나서서 직접 개입하는 것은 자칫 보다 더 큰 문제를 야기시킬 수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 의원은 이어 "해경의 단속 인력, 선박 등을 강화해 제대로 된 단속을 하는 게 중요한 것 같다"며 "중국 정부에 대해서도 강력하게 요구해야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김 의원의 이 같은 주장은 당 원내지도부 입장과 배치되는 것으로 보인다.

우상호 더민주 원내대표는 지난 8일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우리나라 서해 영토가 유린되고 있는 문제 대책을 해경에만 요구하는 것은 무리"라며 "군을 동원, 해군, 해병대, 해경의 공동 작전으로 우리 영토를 지켜낸다는 마음으로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우 원내대표는 또 "인력과 장비가 충분한 군이 나서지 않고선 이를 영원히 해결할 수 없다"며 "무기 사용 취지는 아니지만 여력이 있는 군 병력이 영토를 지키고 어민을 보호하는 차원에서 공동으로 대책을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한편, 김 의원은 "세월호 참사 규명에 박근혜 대통령과 청와대 체계에 대한 조사는 나중으로 미뤄야 한다"며 이른바 '대통령의 7시간' 행적은 조사 대상에서 제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저도 대통령의 7시간 행적 조사가 반드시 이뤄졌으면 좋겠다"면서도 "그런데 지난 1년 6개월 동안 청와대를 중심으로 이 문제에 반대하고 있고 세월호조사특위 시한은 6월 말로 종료된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대통령과 청와대에 대한 조사를 일단 보류하더라도 나머지 중요한 문제들에 대한 진상조사를 먼저 하자"고 제안했다.

다만 "유가족들이 동의를 하지 못하면 저희 당으로서도 어쩔 수 없이 유가족들 주장을 대변하는 수밖에 없다"고 덧붙였다.(서울=포커스뉴스) 13일 오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343회 국회(임시회) 2차 본회의에 참석한 김영춘 신임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장이 당선 인사를 하고 있다. 2016.06.13 박동욱 기자

[저작권자ⓒ 부자동네타임즈.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뉴스댓글 >

속보